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9

수표

조회 수 745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표

현금 대신 쓰는 수표(手票)의 기원은 13세기 유럽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께 일본 수표법이 준용된 ‘조선민사령’에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거래할 때 수표와 비슷한 ‘어음’이 널리 쓰였다. 조선 때 상평통보가 널리 쓰였는데,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개성 상인들은 종이에 금액, 날짜, 채무자 이름 등을 적고, 엽전 대신 사용했다. 이것이 지금의 어음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북녘에서도 ‘수표’를 사용할까? 북녘에서도 ‘수표’를 쓰는데 그 뜻이 다르다. 북녘말 ‘수표’(手票)는 ‘서명’ 또는 ‘사인’(sign)을 말한다.

“금컵 수상자에게서 기념으로 수표를 요구하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북녘에서는 수표를 서명·사인의 뜻으로만 쓰기에 보기로 든 글은 오해의 소지가 없다. 하지만 남녘말 ‘수표’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된다. 북녘말 ‘수표’는〈조선말사전〉(1961)에서도 확인되므로 그 이전부터 쓰이던 말로 보이는데, 남녘 사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서명’은 북녘에서도 쓰이고, ‘사인’은 ‘싸인’으로 적는다.

한편, 예전에 쓰던 서명 방식으로 ‘수결’(手決)이 있다. ‘수결’은 ‘서명·사인·수표’와 달리 이름이 드러나는 방식이 아닌 기호처럼 쓰였다. 이는 조선 말 개항 이후 도장에 그 자리를 내줬다가 요즘의 서명(사인)으로 이어진다. 남북 두루 수표(돈)와 어음을 어음으로 통합하고, ‘사인·싸인, 수표’ 대신으로 ‘서명’으로 통일해 쓰는 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9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5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486
1456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2
1455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75
1454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32
1453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72
145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53
1451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82
1450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897
1449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6034
1448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35
144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959
1446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00
1445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224
1444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8
1443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49
144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205
144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01
1440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8080
1439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952
1438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77
143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591
1436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65
1435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