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8

임·님

조회 수 1085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임·님

임·님은 예부터 썩 높은 이나 귀한 이를 이를 때 쓴 말이다. 임금의 ‘임’이나 사랑하는 ‘임’이 그렇고, 뒷가지로 쓰는 ‘님’도 그렇다. 임금님이라면 맏높은 말에 다시 ‘님’을 붙여 지극히 높인다. 하느님·선생님·각시님·아드님·따님·서방님·손님·도련님·마님·샌님…들은 ‘님’이 아예 들러붙어 쓰이는 말들이다. 이 밖에도 ‘님’은 인격이 있는 지칭어에 붙어 높여 부르는 말을 만든다.

어버이를 높여 부르는 말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는 가친·부친·춘부장·선친·선대인, 모친·자당·자친·선대부인·선비 …처럼 살아 계시거나 돌아가신 어버이를 자신 또는 남이 가려가며 일컫는 높임말이 있는데, 이런 말들은 구별하기도 쉽잖고, 또 부르는 말이 아니라 모두 일컫는 말일 뿐이다.

옛시조나 글을 보면 아버님·어머님이 보이는데, 이 역시 글말이어서 실제로 어버이를 부를 때 썼는지는 알 수 없다. 대체로 자신의 아버지·어머니는 달리 높여 부르지는 않고, 남의 어버이를 높여 아버님·어머님이라 부른다. 예컨대 시집 온 며느리가 시가 부모를, 또 사위가 장인·장모를 부를 때는 ‘님’자를 붙여 불러야 자연스럽다. 할머님·할아버님·아주버님·아재뱀들도 주로 시집 온 며느리 쪽에서 쓰는 말이다.

“핏줄로 계산되는 친당·척당 사람에게는 ‘님’을 붙여서 부름말로 사용할 수 없다”(려증동)는 해석도 있고, 표준화법 쪽에서도 자기 어버이를 비롯한 친척을 부를 때 ‘님’을 붙여 부르지 않는 것을 자연스런 화법으로 여긴다. 다만 편지글 등 간접적으로 격식을 차리는 글말에서 ‘어버이’에 ‘님’을 붙여 쓰는 정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6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1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030
2710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27
2709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630
2708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31
2707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2
2706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33
2705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5
2704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35
2703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6
2702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39
2701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643
2700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43
2699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51
2698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652
2697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53
2696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53
2695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54
2694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54
2693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56
2692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0
2691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664
2690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665
2689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