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8

임·님

조회 수 1086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임·님

임·님은 예부터 썩 높은 이나 귀한 이를 이를 때 쓴 말이다. 임금의 ‘임’이나 사랑하는 ‘임’이 그렇고, 뒷가지로 쓰는 ‘님’도 그렇다. 임금님이라면 맏높은 말에 다시 ‘님’을 붙여 지극히 높인다. 하느님·선생님·각시님·아드님·따님·서방님·손님·도련님·마님·샌님…들은 ‘님’이 아예 들러붙어 쓰이는 말들이다. 이 밖에도 ‘님’은 인격이 있는 지칭어에 붙어 높여 부르는 말을 만든다.

어버이를 높여 부르는 말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는 가친·부친·춘부장·선친·선대인, 모친·자당·자친·선대부인·선비 …처럼 살아 계시거나 돌아가신 어버이를 자신 또는 남이 가려가며 일컫는 높임말이 있는데, 이런 말들은 구별하기도 쉽잖고, 또 부르는 말이 아니라 모두 일컫는 말일 뿐이다.

옛시조나 글을 보면 아버님·어머님이 보이는데, 이 역시 글말이어서 실제로 어버이를 부를 때 썼는지는 알 수 없다. 대체로 자신의 아버지·어머니는 달리 높여 부르지는 않고, 남의 어버이를 높여 아버님·어머님이라 부른다. 예컨대 시집 온 며느리가 시가 부모를, 또 사위가 장인·장모를 부를 때는 ‘님’자를 붙여 불러야 자연스럽다. 할머님·할아버님·아주버님·아재뱀들도 주로 시집 온 며느리 쪽에서 쓰는 말이다.

“핏줄로 계산되는 친당·척당 사람에게는 ‘님’을 붙여서 부름말로 사용할 수 없다”(려증동)는 해석도 있고, 표준화법 쪽에서도 자기 어버이를 비롯한 친척을 부를 때 ‘님’을 붙여 부르지 않는 것을 자연스런 화법으로 여긴다. 다만 편지글 등 간접적으로 격식을 차리는 글말에서 ‘어버이’에 ‘님’을 붙여 쓰는 정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68
2710 잇따르다와 잇달다 바람의종 2010.01.19 9503
2709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72
2708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700
2707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74
2706 입추의 여지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8 13959
2705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56
2704 입장(立場)을 바꿔보자 바람의종 2008.04.26 7024
2703 입장 바람의종 2010.03.18 12000
2702 입에 발린 소리 바람의종 2008.01.28 17644
2701 입소문 바람의종 2010.03.04 7814
2700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445
2699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14
2698 임마, 상판때기 바람의종 2009.11.09 9662
2697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72
»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863
2695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365
2694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621
269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79
2692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바람의종 2012.09.26 31711
2691 일제피해여성 바람의종 2012.07.13 11102
2690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381
2689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