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6

오랫도리

조회 수 800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도리

옛날 서적을 읽다 보면 오늘날 쓰지 않는 말들이 나타날 때가 적잖다.〈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이도령이 천자문을 읽자, 방자가 한 마디 던진다. “여보 도련님, 점잖은 사람이 천자는 또 웬일이오?”, “소인놈도 천자 속은 아옵네다.” 그러고는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 칭칭 가물 현, 불타것다 누루 황”이라고 읽는 모습은 가히 웃음을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실은 한문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천자문’ 풀이조차도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라 문’이다.

홍양호의 〈북색기략〉에는 함북 방언에 문(門)을 뜻하는 ‘오라’가 있고, 덕(德)을 뜻하는 ‘고부’(高阜)가 있다고 한다. 함북 방언은 조선 초기 육진을 개척할 때 경상도 사람을 이주시켰으므로 신라 고어라고 할 수 있다. 황윤석은 영남 인본 천자문을 바탕으로 ‘오라’가 영남 고어라고 하였고, 객사에서 아이들이 대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라고도 풀이하였다. 이처럼 ‘문’을 ‘오라’로 풀이한 예는 더 발견되는데,〈석봉 천자문〉의 ‘오라 문’이나,〈소학언해〉의 ‘문 오래며 과실 남글’[門巷果木]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 김윤학 교수 연구에서, 강화 화도면에 ‘오랫도리’라는 밭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 동네 들머리에 놓인 이 밭을 ‘출입문에 해당하는 밭’이라고 생각하며 ‘오랫도리’라 불렀다는 것이다. ‘도리’는 ‘둘레’란 뜻이므로, ‘동리로 드는 문의 주위에 놓인 밭’이다. 땅이름에 우리말이 화석처럼 깃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30
268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300
267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298
266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296
265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295
264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292
263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291
262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290
261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286
260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85
259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284
258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283
257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283
256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82
255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80
25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279
253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277
252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77
251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77
250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276
249 혼성어 風文 2022.05.18 1274
248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274
247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2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