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6

오랫도리

조회 수 826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도리

옛날 서적을 읽다 보면 오늘날 쓰지 않는 말들이 나타날 때가 적잖다.〈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이도령이 천자문을 읽자, 방자가 한 마디 던진다. “여보 도련님, 점잖은 사람이 천자는 또 웬일이오?”, “소인놈도 천자 속은 아옵네다.” 그러고는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 칭칭 가물 현, 불타것다 누루 황”이라고 읽는 모습은 가히 웃음을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실은 한문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천자문’ 풀이조차도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라 문’이다.

홍양호의 〈북색기략〉에는 함북 방언에 문(門)을 뜻하는 ‘오라’가 있고, 덕(德)을 뜻하는 ‘고부’(高阜)가 있다고 한다. 함북 방언은 조선 초기 육진을 개척할 때 경상도 사람을 이주시켰으므로 신라 고어라고 할 수 있다. 황윤석은 영남 인본 천자문을 바탕으로 ‘오라’가 영남 고어라고 하였고, 객사에서 아이들이 대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라고도 풀이하였다. 이처럼 ‘문’을 ‘오라’로 풀이한 예는 더 발견되는데,〈석봉 천자문〉의 ‘오라 문’이나,〈소학언해〉의 ‘문 오래며 과실 남글’[門巷果木]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 김윤학 교수 연구에서, 강화 화도면에 ‘오랫도리’라는 밭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 동네 들머리에 놓인 이 밭을 ‘출입문에 해당하는 밭’이라고 생각하며 ‘오랫도리’라 불렀다는 것이다. ‘도리’는 ‘둘레’란 뜻이므로, ‘동리로 드는 문의 주위에 놓인 밭’이다. 땅이름에 우리말이 화석처럼 깃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0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43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54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8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59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90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28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8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2010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516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80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907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30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73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513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05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55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48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74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69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82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529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