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6

오랫도리

조회 수 828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도리

옛날 서적을 읽다 보면 오늘날 쓰지 않는 말들이 나타날 때가 적잖다.〈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이도령이 천자문을 읽자, 방자가 한 마디 던진다. “여보 도련님, 점잖은 사람이 천자는 또 웬일이오?”, “소인놈도 천자 속은 아옵네다.” 그러고는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 칭칭 가물 현, 불타것다 누루 황”이라고 읽는 모습은 가히 웃음을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실은 한문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천자문’ 풀이조차도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라 문’이다.

홍양호의 〈북색기략〉에는 함북 방언에 문(門)을 뜻하는 ‘오라’가 있고, 덕(德)을 뜻하는 ‘고부’(高阜)가 있다고 한다. 함북 방언은 조선 초기 육진을 개척할 때 경상도 사람을 이주시켰으므로 신라 고어라고 할 수 있다. 황윤석은 영남 인본 천자문을 바탕으로 ‘오라’가 영남 고어라고 하였고, 객사에서 아이들이 대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라고도 풀이하였다. 이처럼 ‘문’을 ‘오라’로 풀이한 예는 더 발견되는데,〈석봉 천자문〉의 ‘오라 문’이나,〈소학언해〉의 ‘문 오래며 과실 남글’[門巷果木]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 김윤학 교수 연구에서, 강화 화도면에 ‘오랫도리’라는 밭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 동네 들머리에 놓인 이 밭을 ‘출입문에 해당하는 밭’이라고 생각하며 ‘오랫도리’라 불렀다는 것이다. ‘도리’는 ‘둘레’란 뜻이므로, ‘동리로 드는 문의 주위에 놓인 밭’이다. 땅이름에 우리말이 화석처럼 깃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4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57
1390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553
1389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553
1388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4
1387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9
1386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61
1385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0.03.07 9563
138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64
1383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64
1382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5
1381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567
1380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68
1379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5
1378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6
1377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581
1376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81
1375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91
1374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373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95
1372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602
1371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04
1370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605
136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