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6

오랫도리

조회 수 824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랫도리

옛날 서적을 읽다 보면 오늘날 쓰지 않는 말들이 나타날 때가 적잖다.〈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이도령이 천자문을 읽자, 방자가 한 마디 던진다. “여보 도련님, 점잖은 사람이 천자는 또 웬일이오?”, “소인놈도 천자 속은 아옵네다.” 그러고는 “높고 높은 하늘 천, 깊고 깊은 따 지, 홰홰 칭칭 가물 현, 불타것다 누루 황”이라고 읽는 모습은 가히 웃음을 유발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실은 한문 공부의 첫걸음이라고 할 ‘천자문’ 풀이조차도 이해하기가 쉽지는 않다. 그 가운데 하나가 ‘오라 문’이다.

홍양호의 〈북색기략〉에는 함북 방언에 문(門)을 뜻하는 ‘오라’가 있고, 덕(德)을 뜻하는 ‘고부’(高阜)가 있다고 한다. 함북 방언은 조선 초기 육진을 개척할 때 경상도 사람을 이주시켰으므로 신라 고어라고 할 수 있다. 황윤석은 영남 인본 천자문을 바탕으로 ‘오라’가 영남 고어라고 하였고, 객사에서 아이들이 대문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라고도 풀이하였다. 이처럼 ‘문’을 ‘오라’로 풀이한 예는 더 발견되는데,〈석봉 천자문〉의 ‘오라 문’이나,〈소학언해〉의 ‘문 오래며 과실 남글’[門巷果木]이 이에 해당한다.

그런데 고 김윤학 교수 연구에서, 강화 화도면에 ‘오랫도리’라는 밭이름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 동네 들머리에 놓인 이 밭을 ‘출입문에 해당하는 밭’이라고 생각하며 ‘오랫도리’라 불렀다는 것이다. ‘도리’는 ‘둘레’란 뜻이므로, ‘동리로 드는 문의 주위에 놓인 밭’이다. 땅이름에 우리말이 화석처럼 깃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18
1390 아르바이트 바람의종 2010.02.06 8055
1389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54
1388 매무시 風磬 2006.11.26 8053
1387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48
1386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47
1385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8046
1384 서낭당 風磬 2006.12.29 8046
1383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42
1382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8040
1381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8036
1380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29
1379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28
1378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27
1377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8023
1376 망나니 風磬 2006.11.26 8015
1375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8013
1374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1373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8006
1372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05
137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8000
1370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5
136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