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6:04

엉겅퀴

조회 수 555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엉겅퀴

엉겅퀴라는 풀이름은 우선 예쁘지가 않다. 뭔가 엉켜서 퀴퀴한 습지에서나 자랄 것만 같은 어감이다. 그러나 여름에 산과 들에서 자유롭게 자라는 자주보라색 꽃은 개성 만점이다. 특히 통모양의 작은 꽃들이 모여 한 송이 꽃을 만드는 것은 나비나 벌이 꿀을 한꺼번에 많이 따가게 하려는 배려라고 한다.

‘엉겅퀴’라는 이름은 피를 엉기게 하는 성질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넘어지거나 칼이나 낫에 베어 피가 날 때 엉겅퀴를 찧어 바르면 금방 피가 멎는다는 것은 옛사람들의 생활 상식이었다. 1690년에 나온 <역어유해>에 이미 ‘엉것귀’라 나와 있는데, 이는 엉기다와 엉겅퀴의 한자말 귀계(鬼薊)의 ‘귀’가 합쳐진 것이라고 추정할 수도 있겠다. 곧, ‘엉기는 귀신풀’ 정도의 뜻이 된다.

키가 크고 가시가 많아 ‘항가시나물’, ‘가시나물’이라고도 한다. 큰 것은 1m가 되는 것도 있는데, 이때 크다는 뜻의 ‘한’이 ‘항’으로 변한 것이다. 톱니잎의 가장자리가 모두 가시로 되어 있어서 찔리면 따끔거린다. 한자말로는 빛이 붉어 ‘야홍화’(夜紅花), 약이름으로는 ‘대계’(大薊)라 이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엉겅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789
1104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104
1103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59
1102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293
1101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43
1100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546
1099 얼레지 바람의종 2008.06.08 6012
1098 얼만큼 바람의종 2009.09.24 9921
10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79
1096 얽히고설키다 file 바람의종 2010.03.13 11342
1095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12
1094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396
1093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07
1092 엄치미 좋아! 바람의종 2009.09.26 7341
1091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2
»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59
1089 엉덩이와 궁둥이 바람의종 2010.08.19 9677
1088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46
1087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08
1086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398
1085 에누리 바람의종 2010.07.23 10107
1084 에다 / 에이다 바람의종 2009.06.15 10223
1083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