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9

단고기

조회 수 7561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고기

초복·중복·말복이 되면 삼계탕이나 개장국을 먹는다. 삼계탕은 대표적인 여름 보양식으로 자리잡았으나 개장국은 아직 공인되지 않은 음식이다. 북녘에서는 개고기를 ‘단고기’, 개장국을 ‘단고기국’이라 한다. 단고기라는 말은 ‘고기 맛이 달다’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평양시 낙랑구역 통일거리에는 ‘평양단고기집’이 있는데 1992년에 개장했다. 남녘에서 단고기는 공인된 식재료가 아니어서 규모가 큰 개장국 식당이 드문데, ‘평양단고기집’은 630석의 식사홀과 80석의 연회장, 7개의 방을 갖추고 있다니 무척 큰 규모다. ‘평양단고기집’에서는 다양한 단고기 요리를 코스요리로 맛볼 수 있다. 등뼈찜·갈비찜·가죽볶음·뒷다리토막찜·황구신이 차례로 나오고, 마지막으로 밥과 단고기국이 나온다. 밑반찬으로는 양배추말이김치와 우엉김치가 나온다.

남녘에서는 개장국을 보신탕·영양탕·사철탕이라고도 하는데, 재료 종류를 드러내지 않고 쓰는 말이다. 몸보신이 되고, 영양이 많고, 사철 먹어도 좋을 음식이 ‘단고기국’만은 아닐텐데도 이들 말은 ‘단고기국’을 가리킨다.

최근 중국에 평양단고기집 지점이 생겼다고 한다. 우리가 아직 마음대로 평양에 갈 수 없는 형편이지만 한편으로는 남녘 단고기 애호가들에게 희소식이겠다. 다른 한편으로는 공인되지 않은 개고기를 먹고자 밀도살, 밀수, 식당 편법 운영 등이 동원되는 남녘 현실과 단고기를 관광 상품으로 만들고 외국 지점까지 개설한 ‘평양단고기집’의 상황이 대조적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16
268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61
267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61
266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61
265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54
264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54
263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54
262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53
261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52
260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51
259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50
258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448
257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42
256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441
255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40
25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38
253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38
252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36
25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435
250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34
249 지슬 風文 2020.04.29 1433
248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433
247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