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7

어버이

조회 수 788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버이

자신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아들딸을 둔 ‘어미·아비’가 얼마나 될까? 글말로는 흔히 쓰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들 말로 ‘엄마!’ ‘아빠!’로 불리고, 그 아들딸들이 어른이 되고서야 ‘아버지·어머니’ 하는 호칭을 이따금 듣는 형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 앞에서 자신을, 어른들끼리 이야기할 때도 자신과 상대를 ‘아빠·엄마’로 일컫거나 부르기까지 하는데, 이는 아이말을 따르는 꼴인데다 제 어미·아비를 욕먹이는 셈이 된다.

할아버지·할머니도 ‘할배·할매’가 아이 말, 친근한 말로 쓰인다. 손주 앞에서는 자신을 ‘할아비·할미’라고 하는데, 할아버지·할머니, 할배·할매는 부르는 쪽의 말인 까닭이다. 아비/애비·아범, 어미/에미·어멈, 할아비/할애비·할아범, 할미·할멈을 보면 사람 따라 경우 따라 마땅한 말을 골라 쓰도록 우리말이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어머니를 ‘아바쌔·아바씨·아바이·아배·아버니·아버이·아베·아부니·아부씨·아부이·아부재·아부제·아부지·아브이 …/ 어마·어마니·어마씨·어마에·어마이·어매·어머이·어메·어메이·어멤·어무니·어무이·오만·오매·오메·옴마 …’들로 부르는데, 고장이나 집안·사람 따라 조금씩 다른 게 재미있다.

‘아버지·어머니’는 인류 공통어에 가깝기도 해서, 부탄·몽골·중국·스리랑카 등에서도 아빠를 ‘아빠/아버/아바’처럼 말한다. 아람말(옛히브리어)로도 아버지를 ‘아바’로 불렀다는데, 이는 하느님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 아버지’나 ‘어버이 수령’이 그렇게 낯선 표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6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3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190
268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60
267 ‘~스런’ 風文 2023.12.29 1560
266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557
265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53
26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553
263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52
262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50
261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550
260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550
259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45
258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45
257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43
25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542
25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42
254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42
253 ‘이’와 ‘히’ 風文 2023.05.26 1540
252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40
25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32
250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31
24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30
248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529
247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5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