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7

어버이

조회 수 779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버이

자신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아들딸을 둔 ‘어미·아비’가 얼마나 될까? 글말로는 흔히 쓰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들 말로 ‘엄마!’ ‘아빠!’로 불리고, 그 아들딸들이 어른이 되고서야 ‘아버지·어머니’ 하는 호칭을 이따금 듣는 형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 앞에서 자신을, 어른들끼리 이야기할 때도 자신과 상대를 ‘아빠·엄마’로 일컫거나 부르기까지 하는데, 이는 아이말을 따르는 꼴인데다 제 어미·아비를 욕먹이는 셈이 된다.

할아버지·할머니도 ‘할배·할매’가 아이 말, 친근한 말로 쓰인다. 손주 앞에서는 자신을 ‘할아비·할미’라고 하는데, 할아버지·할머니, 할배·할매는 부르는 쪽의 말인 까닭이다. 아비/애비·아범, 어미/에미·어멈, 할아비/할애비·할아범, 할미·할멈을 보면 사람 따라 경우 따라 마땅한 말을 골라 쓰도록 우리말이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어머니를 ‘아바쌔·아바씨·아바이·아배·아버니·아버이·아베·아부니·아부씨·아부이·아부재·아부제·아부지·아브이 …/ 어마·어마니·어마씨·어마에·어마이·어매·어머이·어메·어메이·어멤·어무니·어무이·오만·오매·오메·옴마 …’들로 부르는데, 고장이나 집안·사람 따라 조금씩 다른 게 재미있다.

‘아버지·어머니’는 인류 공통어에 가깝기도 해서, 부탄·몽골·중국·스리랑카 등에서도 아빠를 ‘아빠/아버/아바’처럼 말한다. 아람말(옛히브리어)로도 아버지를 ‘아바’로 불렀다는데, 이는 하느님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 아버지’나 ‘어버이 수령’이 그렇게 낯선 표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47
2314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53
2313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57
2312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61
2311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64
2310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65
2309 세상은 아직… 바람의종 2010.09.29 7468
2308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68
230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469
2306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69
2305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69
2304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70
2303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73
2302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475
2301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76
2300 그러모으다, 긁어모으다 바람의종 2008.12.06 7476
2299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78
2298 까지,조차,마저 바람의종 2010.01.19 7478
2297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481
2296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82
2295 메다, 매다 바람의종 2008.10.14 7484
2294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485
2293 복지리 바람의종 2010.02.12 74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