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7

어버이

조회 수 783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버이

자신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아들딸을 둔 ‘어미·아비’가 얼마나 될까? 글말로는 흔히 쓰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들 말로 ‘엄마!’ ‘아빠!’로 불리고, 그 아들딸들이 어른이 되고서야 ‘아버지·어머니’ 하는 호칭을 이따금 듣는 형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 앞에서 자신을, 어른들끼리 이야기할 때도 자신과 상대를 ‘아빠·엄마’로 일컫거나 부르기까지 하는데, 이는 아이말을 따르는 꼴인데다 제 어미·아비를 욕먹이는 셈이 된다.

할아버지·할머니도 ‘할배·할매’가 아이 말, 친근한 말로 쓰인다. 손주 앞에서는 자신을 ‘할아비·할미’라고 하는데, 할아버지·할머니, 할배·할매는 부르는 쪽의 말인 까닭이다. 아비/애비·아범, 어미/에미·어멈, 할아비/할애비·할아범, 할미·할멈을 보면 사람 따라 경우 따라 마땅한 말을 골라 쓰도록 우리말이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어머니를 ‘아바쌔·아바씨·아바이·아배·아버니·아버이·아베·아부니·아부씨·아부이·아부재·아부제·아부지·아브이 …/ 어마·어마니·어마씨·어마에·어마이·어매·어머이·어메·어메이·어멤·어무니·어무이·오만·오매·오메·옴마 …’들로 부르는데, 고장이나 집안·사람 따라 조금씩 다른 게 재미있다.

‘아버지·어머니’는 인류 공통어에 가깝기도 해서, 부탄·몽골·중국·스리랑카 등에서도 아빠를 ‘아빠/아버/아바’처럼 말한다. 아람말(옛히브리어)로도 아버지를 ‘아바’로 불렀다는데, 이는 하느님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 아버지’나 ‘어버이 수령’이 그렇게 낯선 표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01
319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63
3193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66
3192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469
3191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471
3190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72
3189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472
3188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73
3187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73
318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76
3185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77
3184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477
3183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77
3182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77
3181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79
3180 ‘~스런’ 風文 2023.12.29 1479
317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80
3178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80
3177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82
3176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484
317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85
3174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85
3173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