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50

입뇌리·물퉁게

조회 수 1041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입뇌리·물퉁게

몸이 피곤하면 입술 주위에 물집이 생길 때가 있다. 이 물집을 ‘구순포진’(口脣疱疹)이라고 한다. 참 어려운 말인데, 바로 ‘입술 물집’이다. 한 낱말로 붙여서 쓸 수도 있겠으나 아직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런데 ‘입술 물집’에 해당되는 남녘말로 ‘입치리’, 북녘말로 ‘입뇌리·물퉁게’가 있다. ‘입술물집’은 두 낱말이 연결되어 한 낱말로 쓰기에 좀 이상하다면, 이들 말을 써 보면 어떨까?

‘입치리·입뇌리·물퉁게’의 원인은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알려졌다. ‘헤르페스’(herpes)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온 영어인데 ‘포진, 물집’을 뜻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물집균’이라고 하겠다. ‘바이러스’는 워낙 익숙하기 때문에 ‘균’으로 바꾸기 곤란하다면, ‘물집 바이러스’라고 할 수도 있겠다. ‘물집균’은 치료된 뒤에도 감각 신경에 남아 있다가 몸의 면역 기능이 떨어지면 활동을 시작해 물집을 만든다고 한다.

입술 주변이 아닌 가슴이나 등에 물집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를 ‘대상포진’이라고 한다. ‘대상’(帶狀)은 ‘띠 모양’을 뜻한다. 그러니 ‘대상포진’은 ‘띠처럼 물집이 여럿 난 것’을 말한다.

좀 다른 이야기지만, ‘지석묘’(支石墓)를 ‘고인돌’로 바꾸었는데, 고인돌이 ‘돌로 돌을 고였다’는 뜻으로 ‘고이다, 괴다’와 관계가 있다는 것만 알면, 욀 필요도 없고 이해하기 쉽다. 이렇게 익숙지 않은 말을 쉬운 말로 고쳐서 쓰는 노력이 필요하다. 익숙하지 않은 한자어와 외국어를 섞어서 씀으로써 얻는 이득이 적은 까닭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64
26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55
267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820
266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87
26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57
264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83
263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254
262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471
261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588
260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759
259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67
258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494
257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587
256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761
255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342
254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119
253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117
252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50
251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554
250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692
249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414
248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32
247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7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