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7

조회 수 674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집’은 사는 집, 가족이란 뜻에다, 지아비·지어미(집아비·집어미)처럼 부부, 집사람·안사람처럼 아내를 일컫는 말을 만들기도 한다. 어떤 집안이나 그 집 사람을 부르는 말에 택호·가호가 있다. 흔히 안주인의 친정 마을 이름을 따 ○○댁·○○양반처럼 안·바깥 주인을 일컫고 불렀다. 삼대가 사는 집이라면 택호만도 셋은 된다. ‘마실댁·싹실댁·한들댁’이 그런데, 새댁·새사람 시절을 지나야 택호가 붙는다. 나아가 월남댁·태국댁·연변댁·새터댁 …으로도 부를 만한데, 공동체나 두레가 사라지고 아파트살이, 맞벌이 부부가 많아진 요즘엔 마냥 사람 이름이나 멋없는 직업·직책 이름만 나돈다.

‘집안’이 곧 가문인데, 이를 이르는 말이 숱하다. 본디 자신이 놓인 처지 따라 쓸 말이 달라지는 까닭에 생긴 이름들이다.

본집, 작은집, 큰집, 친정집, 시집·시갓집, 사돈집/사가, 처갓집/가시집, 외갓집, 고모집, 이모집들이 그것이다. 집은 무리(黨)를 이루므로 본당·친당·모당·시당·처당·척당·취객당으로 일컫기도 한다. 여기서 척당(戚黨)은 성이 다른 가까운 핏줄을 이른다. 척당·척속에는 모당, 곧 외갓집·이모집은 물론 고모집과 진외가·증외가(할머니 쪽 친정)처럼 외척·내척을 싸잡는 까닭에 무리가 많게 된다. ‘사돈의 팔촌’이란 따지고 보면 남이 없다는 얘긴데, 전날 무척 번성한 집안이어도 두루 삼백을, 요즘엔 백 사람을 넘기기도 어렵다. 친척이라면 같은 성 곧 일가(친)와 성이 다른 피붙이(척)를 아우르고, 인척(姻戚)은 혼인으로 맺은 사람들을 가리킨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32
26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80
267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810
266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13
265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604
264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97
263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9
26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800
261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15
260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553
259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76
258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415
257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81
256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705
255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16
254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53
253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504
252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5
251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11
250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51
249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86
248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60
247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