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5

빌레와 바위

조회 수 714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와 바위

제주의 땅이름 형태는 뭍과 다른 점이 많다. ‘빌레’는 제주말로 ‘너럭바위’를 뜻한다. 남제주 대정 지역의 ‘넙은빌레·빌레못·답단빌레’ 등은 너럭바위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빌레’의 표준형은 ‘별내’다. 별내는 비탈을 뜻하는 ‘별’에 ‘장소’ 또는 ‘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 된 말이다. 제주에서만 ‘빌레’가 나타나 낯선 땅이름처럼 보인다.

땅이름 변화에는 지역에 따른 말소리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친다. 고개를 뜻하는 ‘모르’나 ‘머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뭍을 뜻하는 ‘고지·코지’와 같은 말들도 받침이 없는 형태인데, 이는 제주말의 소리마디에 받침을 잘 안 쓰거나 유성음을 많이 쓰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에 제주 방언에는 ‘르·앙·엉’으로 끝나는 명사가 많다. 또 뭍과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 말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비탈의 ‘별’과 낭떠러지의 ‘낭’이 합쳐져 ‘벼랑’을 이루듯, 비탈진 곳의 바위만을 별도로 ‘빌레’라고 부른 것은 땅이름의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셈이다. 제주에서 빌레와 바위는 유의어로 쓰이는데, 바위는 간혹 ‘방구·방귀’로 불리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마을인 남원읍 신흥리는 ‘방구령’이라고 불렸다. 이 말은 생리현상인 방귀를 연상하게 하므로, 한자 표기에 거북 구를 쓰다가, 아예 신흥리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서남쪽에 앞빌레가 서 있는데도 생소한 땅이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5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29
26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657
267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49
266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49
26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649
26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47
26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47
262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646
261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44
260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42
25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41
258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36
257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633
256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633
255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632
254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627
253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624
252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24
251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620
250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620
249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618
248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614
247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