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5

빌레와 바위

조회 수 701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와 바위

제주의 땅이름 형태는 뭍과 다른 점이 많다. ‘빌레’는 제주말로 ‘너럭바위’를 뜻한다. 남제주 대정 지역의 ‘넙은빌레·빌레못·답단빌레’ 등은 너럭바위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빌레’의 표준형은 ‘별내’다. 별내는 비탈을 뜻하는 ‘별’에 ‘장소’ 또는 ‘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 된 말이다. 제주에서만 ‘빌레’가 나타나 낯선 땅이름처럼 보인다.

땅이름 변화에는 지역에 따른 말소리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친다. 고개를 뜻하는 ‘모르’나 ‘머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뭍을 뜻하는 ‘고지·코지’와 같은 말들도 받침이 없는 형태인데, 이는 제주말의 소리마디에 받침을 잘 안 쓰거나 유성음을 많이 쓰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에 제주 방언에는 ‘르·앙·엉’으로 끝나는 명사가 많다. 또 뭍과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 말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비탈의 ‘별’과 낭떠러지의 ‘낭’이 합쳐져 ‘벼랑’을 이루듯, 비탈진 곳의 바위만을 별도로 ‘빌레’라고 부른 것은 땅이름의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셈이다. 제주에서 빌레와 바위는 유의어로 쓰이는데, 바위는 간혹 ‘방구·방귀’로 불리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마을인 남원읍 신흥리는 ‘방구령’이라고 불렸다. 이 말은 생리현상인 방귀를 연상하게 하므로, 한자 표기에 거북 구를 쓰다가, 아예 신흥리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서남쪽에 앞빌레가 서 있는데도 생소한 땅이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3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41
2556 줏개 file 바람의종 2009.09.03 6914
2555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14
2554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918
2553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22
2552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24
2551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0
2550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32
254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33
2548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42
2547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949
2546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0
254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52
2544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53
2543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5
2542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56
2541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57
2540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539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59
2538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64
2537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65
2536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5
2535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