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45

빌레와 바위

조회 수 704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빌레와 바위

제주의 땅이름 형태는 뭍과 다른 점이 많다. ‘빌레’는 제주말로 ‘너럭바위’를 뜻한다. 남제주 대정 지역의 ‘넙은빌레·빌레못·답단빌레’ 등은 너럭바위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 ‘빌레’의 표준형은 ‘별내’다. 별내는 비탈을 뜻하는 ‘별’에 ‘장소’ 또는 ‘물’을 뜻하는 ‘내’가 합쳐 된 말이다. 제주에서만 ‘빌레’가 나타나 낯선 땅이름처럼 보인다.

땅이름 변화에는 지역에 따른 말소리 차이가 큰 영향을 끼친다. 고개를 뜻하는 ‘모르’나 ‘머르’,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뭍을 뜻하는 ‘고지·코지’와 같은 말들도 받침이 없는 형태인데, 이는 제주말의 소리마디에 받침을 잘 안 쓰거나 유성음을 많이 쓰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는 듯하다. 그렇기에 제주 방언에는 ‘르·앙·엉’으로 끝나는 명사가 많다. 또 뭍과 교류가 활발하지 못했던 탓에 이 지역 말에는 옛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도 특징이다.

비탈의 ‘별’과 낭떠러지의 ‘낭’이 합쳐져 ‘벼랑’을 이루듯, 비탈진 곳의 바위만을 별도로 ‘빌레’라고 부른 것은 땅이름의 지리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셈이다. 제주에서 빌레와 바위는 유의어로 쓰이는데, 바위는 간혹 ‘방구·방귀’로 불리기도 한다. 바위가 많은 마을인 남원읍 신흥리는 ‘방구령’이라고 불렸다. 이 말은 생리현상인 방귀를 연상하게 하므로, 한자 표기에 거북 구를 쓰다가, 아예 신흥리라는 전혀 다른 이름으로 바꿨다. 마을 서남쪽에 앞빌레가 서 있는데도 생소한 땅이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보여준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97
1720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25
1719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170
1718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770
1717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39
1716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810
1715 빌어, 빌려 바람의종 2008.10.14 11028
1714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바람의종 2010.07.25 18979
»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7043
1712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8
1711 빈털털이, 빈털터리 바람의종 2010.05.07 14707
1710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50
1709 빈소와 분향소 바람의종 2010.09.08 8396
1708 빈대떡 風磬 2006.12.23 7787
1707 빈대떡 바람의종 2010.09.01 8126
1706 비후까스 바람의종 2008.02.13 8484
1705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84
1704 비치다, 비추다 바람의종 2008.09.18 11350
1703 비지땀 風磬 2006.12.23 7310
1702 비위맞추다 바람의종 2008.01.14 17823
1701 비싼 돈, 싼 돈 바람의종 2010.02.06 7515
1700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86
1699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7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