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20:56

따발/따발총

조회 수 777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따발/따발총

6월25일이다. 최근 남북관계가 많이 좋아졌고 교류도 활발하지만, 57년 전 이날을 생각하면 우리는 겨레의 아픔을 떠올리게 된다. 당시 ‘따발총’이 쓰였다. 따발총은 총알을 연속으로 발사할 수 있는 소련제 기관 단총이다.

따발총에서 ‘따발’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일부 남녘 사전에서는 따발총과 비슷한 말로 ‘다발총’(多發銃)을 들기도 하는데 ‘따발’과 ‘다발’(多發)은 관련이 없다. 따발총이 처음 실린 남녘 사전은 1961년 12월 발행된 〈국어 대사전〉(이희승 편)이다. 최신 낱말을 상당히 빨리 실었다는 점에서 대단한 일이라고 하겠다. 북녘 사전에서는 62년 10월 발행된 〈조선말 사전〉(5)에서 확인된다.

‘따발’은 ‘똬리, 또아리’의 함경도 방언이다. 따발총에는 총알을 길게 연결한 꾸러미를 넣을 수 있도록 둥글납작한 탄창이 달려 있는데, 그 모양이 ‘똬리, 또아리’와 닮았다고 해서 따발총이라는 별명을 붙인 것이다. 따발총이라는 말은 한걸음 더 나아가 ‘말을 빨리 하는 사람’을 가리키기도 한다. 말하는 것을 입에서 말을 발사하는 것으로 보면, 그 속도가 빠르고 연속적이라는 점에서 따발총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똬리와 또아리는 ‘물동이와 같은 물건을 머리에 일 때, 머리에 얹는 물건’, ‘구렁이가 몸통을 둥글게 빙빙 틀어 놓은 모양’을 뜻한다. 현재 ‘똬리’는 표준어로, ‘또아리’는 비표준어로 치는데, 발음으로 잘 구별되지 않고 둘 다 널리 쓰인다는 점에서 재고할 여지가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63
26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618
267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16
26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614
26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11
26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611
263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10
262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606
261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604
260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599
25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99
258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97
257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96
256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94
25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94
25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88
253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88
252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83
251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83
250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82
249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75
248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73
247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