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20:54

촌수

조회 수 864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촌수

갈라져 나온 곁쪽(방계)과 피마디를 따질 때 쓰는 말이 촌수다. 직계 위아래는 촌수 아닌 대수로 따진다. 방계는 애초 한집안이었다가 딴살림을 차려 새 집안을 이룬다. 가야·백제·신라·고구려가 맞서던 서기 500년대에 산 어른을 시조로 모신 집안이라면 한 세대를 30년으로 잡아 50대 남짓에다, 그 아들이 여럿이라면 지금까지 갈라진 촌수가 100촌 안팎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어미와 지아비는 무촌이고, 아비와 아들딸 또는 어미와 아들딸 사이가 1촌, 형제자매 사이가 2촌이다.

가까운 촌수라면 ‘삼·사·오·육·칠·팔·구·십’촌 정도인데, 두루 걸림말이 있다. 그 씨앗은 종(從·때론 당)이고, ‘재(再)·삼(三)·사(四)’를 앞에, ‘조(祖)·숙(叔)·형·제 …’를 뒤에 두어 관계를 구분한다. ‘종’ 앞에 ‘고(姑)·외(外)·이(姨)’를 둔 말이 고종·외종 들이다.

요즘 어른아이 할 것 없이 촌수말을 부름말이나 걸림말로 쓰는 사람이 적잖다. 특히 ‘삼촌’을 부름말로, ‘사촌’을 걸림말로 쓰는 경향이 그렇다. 아저씨나 친근하게 아재·외아재(외숙)로, ○○아버지(백·숙), 형님·아우( 종형·종제)로 할 것을 촌수로 부르고 일컫는 사람을 어른들은 난 데 없고 본 데 없다고 했다. ‘ 삼촌!’이란다면 ‘세 치야!, 세 마디야!’가 되고, 그 촌수에 드는 이만도 종조·백·숙·조카 등 위아래로 여럿인 까닭이다. ‘사촌’도 ‘종형제/동당형제, 내종/고종·외종·이종’처럼 걸림말을 갖추고 있으나 쉬운말은 아닌 게 문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3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99
3084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838
3083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840
3082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843
3081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849
3080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862
3079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863
3078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866
3077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872
3076 마마잃은중천공? / 비오토프 風文 2020.07.03 1872
3075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876
3074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883
30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896
3072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905
3071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908
3070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1920
3069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924
3068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927
3067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934
3066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935
3065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936
3064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940
3063 큰 소리, 간장하다 風文 2022.10.04 19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