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20:54

촌수

조회 수 847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촌수

갈라져 나온 곁쪽(방계)과 피마디를 따질 때 쓰는 말이 촌수다. 직계 위아래는 촌수 아닌 대수로 따진다. 방계는 애초 한집안이었다가 딴살림을 차려 새 집안을 이룬다. 가야·백제·신라·고구려가 맞서던 서기 500년대에 산 어른을 시조로 모신 집안이라면 한 세대를 30년으로 잡아 50대 남짓에다, 그 아들이 여럿이라면 지금까지 갈라진 촌수가 100촌 안팎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어미와 지아비는 무촌이고, 아비와 아들딸 또는 어미와 아들딸 사이가 1촌, 형제자매 사이가 2촌이다.

가까운 촌수라면 ‘삼·사·오·육·칠·팔·구·십’촌 정도인데, 두루 걸림말이 있다. 그 씨앗은 종(從·때론 당)이고, ‘재(再)·삼(三)·사(四)’를 앞에, ‘조(祖)·숙(叔)·형·제 …’를 뒤에 두어 관계를 구분한다. ‘종’ 앞에 ‘고(姑)·외(外)·이(姨)’를 둔 말이 고종·외종 들이다.

요즘 어른아이 할 것 없이 촌수말을 부름말이나 걸림말로 쓰는 사람이 적잖다. 특히 ‘삼촌’을 부름말로, ‘사촌’을 걸림말로 쓰는 경향이 그렇다. 아저씨나 친근하게 아재·외아재(외숙)로, ○○아버지(백·숙), 형님·아우( 종형·종제)로 할 것을 촌수로 부르고 일컫는 사람을 어른들은 난 데 없고 본 데 없다고 했다. ‘ 삼촌!’이란다면 ‘세 치야!, 세 마디야!’가 되고, 그 촌수에 드는 이만도 종조·백·숙·조카 등 위아래로 여럿인 까닭이다. ‘사촌’도 ‘종형제/동당형제, 내종/고종·외종·이종’처럼 걸림말을 갖추고 있으나 쉬운말은 아닌 게 문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151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296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3Mar
    by 바람의종
    2009/03/03 by 바람의종
    Views 8295 

    간지

  5. No Image 22Jul
    by 바람의종
    2009/07/22 by 바람의종
    Views 8302 

    공멸

  6.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9/03/24 by 바람의종
    Views 8303 

    과반수

  7.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8305 

    뽑다와 캐다

  8. No Image 23Feb
    by 바람의종
    2010/02/23 by 바람의종
    Views 8306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

  9. 구저모디

  10.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09/07/25 by 바람의종
    Views 8318 

    마름질

  11. No Image 26Nov
    by 風磬
    2006/11/26 by 風磬
    Views 8319 

    마누라

  12. No Image 26Apr
    by 바람의종
    2010/04/26 by 바람의종
    Views 8322 

    우연찮게

  13. No Image 28Apr
    by 바람의종
    2007/04/28 by 바람의종
    Views 8322 

    필요한 사람?/최인호

  14. No Image 17Oct
    by 바람의종
    2008/10/17 by 바람의종
    Views 8322 

    갯벌, 개펄

  15. No Image 27Sep
    by 바람의종
    2009/09/27 by 바람의종
    Views 8327 

    ~는가 알아보다

  16. No Image 13Dec
    by 바람의종
    2007/12/13 by 바람의종
    Views 8334 

    수렴 청정

  17. No Image 05Aug
    by 바람의종
    2009/08/05 by 바람의종
    Views 8338 

    생각 뒤

  18.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8/02/22 by 바람의종
    Views 8347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19.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8358 

    현수막, 횡단막

  20.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10/01/19 by 바람의종
    Views 8359 

    커브길

  21.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9/06/11 by 바람의종
    Views 8364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22. No Image 09Apr
    by 바람의종
    2008/04/09 by 바람의종
    Views 8365 

    밸과 마음

  23.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10/02/15 by 바람의종
    Views 8365 

    술과 음식

  24. No Image 21Apr
    by 바람의종
    2008/04/21 by 바람의종
    Views 8366 

    논개

  25. 쥐오줌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