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02:00

삿갓봉과 관악산

조회 수 815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삿갓봉과 관악산

삿갓처럼 생긴 봉우리는 보통 ‘삿갓봉’이라 불린다. 우리나라 갓은 신분을 나타내는 도구로 쓰였다. 신분이 높은 이는 ‘감투’를 썼으며, 별감이나 서리, 또는 광대들은 ‘초립’을 썼다. 또한 떠돌이는 ‘패랭이’를, 군졸들은 ‘전립’을 썼다. 경기 여주의 삿갓봉은 스님이나 유랑인들이 쓰는 넓은 모양의 삿갓을 닮은 봉우리다. 또한 경북 문경의 옛이름이 ‘관문현’(冠文縣)인데, ‘고사갈이’(高思曷伊)라고도 하였다.

갓의 유래를 성호 이익은 ‘고깔’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한 바 있다. 고깔은 뾰족함을 뜻하는 ‘곶’에 모자를 뜻하는 ‘갈’이 붙어 된 말로 알려졌다. 고깔은 불교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중에는 무당·풍물꾼·나장·급창들도 이를 썼다. 그런데 실학자 이덕무는 고깔과 갓은 전혀 다른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고깔과 갓은 전혀 다른 모양새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갓’은 단지 비를 피하고자 푸나무로 만든 도구였는데, 그것이 점점 높아지고 넓어져 여러 가지 형태로 변했다고 하였다.

이처럼 ‘갓’의 쓰임이 변하면서 땅이름에도 새 의미가 덧붙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관악산’이다. 풍수를 따르는 이들은 ‘관악산’에 ‘갓’이 들었으니, 그 기슭에 국립대학이 들어서고, 또 남쪽으로는 정부 청사가 설 수 있다는 말을 즐겨 한다. 그런데 이덕무는 “갓이 너무 크면 항우라도 짜부라지고, 갓이 망가지면 학자라도 망신스럽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벼슬아치·학자님들 두루 새겨들을 말일 듯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6
268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398
267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76
26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359
265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313
264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298
263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1224
26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386
261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667
260 혼성어 風文 2022.05.18 1734
259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1189
258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409
257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498
256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457
25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290
254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1380
253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614
25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467
251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393
250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420
249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406
248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658
247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3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