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02:00

삿갓봉과 관악산

조회 수 819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삿갓봉과 관악산

삿갓처럼 생긴 봉우리는 보통 ‘삿갓봉’이라 불린다. 우리나라 갓은 신분을 나타내는 도구로 쓰였다. 신분이 높은 이는 ‘감투’를 썼으며, 별감이나 서리, 또는 광대들은 ‘초립’을 썼다. 또한 떠돌이는 ‘패랭이’를, 군졸들은 ‘전립’을 썼다. 경기 여주의 삿갓봉은 스님이나 유랑인들이 쓰는 넓은 모양의 삿갓을 닮은 봉우리다. 또한 경북 문경의 옛이름이 ‘관문현’(冠文縣)인데, ‘고사갈이’(高思曷伊)라고도 하였다.

갓의 유래를 성호 이익은 ‘고깔’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한 바 있다. 고깔은 뾰족함을 뜻하는 ‘곶’에 모자를 뜻하는 ‘갈’이 붙어 된 말로 알려졌다. 고깔은 불교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중에는 무당·풍물꾼·나장·급창들도 이를 썼다. 그런데 실학자 이덕무는 고깔과 갓은 전혀 다른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고깔과 갓은 전혀 다른 모양새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갓’은 단지 비를 피하고자 푸나무로 만든 도구였는데, 그것이 점점 높아지고 넓어져 여러 가지 형태로 변했다고 하였다.

이처럼 ‘갓’의 쓰임이 변하면서 땅이름에도 새 의미가 덧붙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관악산’이다. 풍수를 따르는 이들은 ‘관악산’에 ‘갓’이 들었으니, 그 기슭에 국립대학이 들어서고, 또 남쪽으로는 정부 청사가 설 수 있다는 말을 즐겨 한다. 그런데 이덕무는 “갓이 너무 크면 항우라도 짜부라지고, 갓이 망가지면 학자라도 망신스럽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벼슬아치·학자님들 두루 새겨들을 말일 듯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7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3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119
2094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37
2093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40
2092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41
2091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943
2090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944
2089 바람의종 2009.07.31 7944
2088 마초 바람의종 2010.03.14 7944
2087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45
2086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46
2085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47
2084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50
2083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51
2082 늦깎이 바람의종 2010.10.11 7956
2081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59
2080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59
2079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61
2078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62
207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62
2076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65
2075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969
2074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0
2073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