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02:00

삿갓봉과 관악산

조회 수 801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삿갓봉과 관악산

삿갓처럼 생긴 봉우리는 보통 ‘삿갓봉’이라 불린다. 우리나라 갓은 신분을 나타내는 도구로 쓰였다. 신분이 높은 이는 ‘감투’를 썼으며, 별감이나 서리, 또는 광대들은 ‘초립’을 썼다. 또한 떠돌이는 ‘패랭이’를, 군졸들은 ‘전립’을 썼다. 경기 여주의 삿갓봉은 스님이나 유랑인들이 쓰는 넓은 모양의 삿갓을 닮은 봉우리다. 또한 경북 문경의 옛이름이 ‘관문현’(冠文縣)인데, ‘고사갈이’(高思曷伊)라고도 하였다.

갓의 유래를 성호 이익은 ‘고깔’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한 바 있다. 고깔은 뾰족함을 뜻하는 ‘곶’에 모자를 뜻하는 ‘갈’이 붙어 된 말로 알려졌다. 고깔은 불교 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중에는 무당·풍물꾼·나장·급창들도 이를 썼다. 그런데 실학자 이덕무는 고깔과 갓은 전혀 다른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고깔과 갓은 전혀 다른 모양새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갓’은 단지 비를 피하고자 푸나무로 만든 도구였는데, 그것이 점점 높아지고 넓어져 여러 가지 형태로 변했다고 하였다.

이처럼 ‘갓’의 쓰임이 변하면서 땅이름에도 새 의미가 덧붙기도 한다. 그 중 하나가 ‘관악산’이다. 풍수를 따르는 이들은 ‘관악산’에 ‘갓’이 들었으니, 그 기슭에 국립대학이 들어서고, 또 남쪽으로는 정부 청사가 설 수 있다는 말을 즐겨 한다. 그런데 이덕무는 “갓이 너무 크면 항우라도 짜부라지고, 갓이 망가지면 학자라도 망신스럽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벼슬아치·학자님들 두루 새겨들을 말일 듯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67
268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444
26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42
266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39
265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439
264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39
263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437
262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31
261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31
26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430
25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30
258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29
25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27
256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27
255 지슬 風文 2020.04.29 1426
254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25
253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22
252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1
25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21
250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20
24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419
24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16
247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