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5 14:49

전농동과 설렁탕

조회 수 893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농동과 설렁탕

땅이름은 생김새나 사는 동식물, 풍수지리, 역사적인 일들이 관련돼 생기는 때가 많다. 동대문구 전농동도 그런 경우다. 전농동(典農洞)은 임금이 백성의 농사를 장려하고자 제사를 지내고 밭을 갈던 땅이 있었기에 붙은 이름이다. 이곳에는 선농단(先農壇)이 있었는데, 이 제단(현재는 제기동)은 농사짓는 법을 처음으로 가르쳤다는 신농씨(神農氏)·후직씨(后稷氏)를 제사 지내는 곳이었다.

전농동의 땅이름과 함께 널리 알려진 음식이 ‘설렁탕’이다. 설렁탕은 성종대왕 시절 ‘선농단’에서 제사를 지낸 임금이 종친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과 함께 백성을 위로하고자 소머리와 내장 등을 넣고 끓인 음식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선농탕’이라 불렸는데, 차음 설렁탕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 알려진 말이다. 왜냐하면 성종 연간의 기사가 과연 설렁탕을 말하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을 뿐더러 말소리가 비슷한 데서 유추한 결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설렁탕의 유래는 몽골어 [슐렁]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몽어유해>의 [슈루]는 궁중 음식을 뜻하는 [수라]로 바뀌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슈루]는 ‘공탕’(空湯)이다. 그렇기에 ‘유해’의 해석에도 ‘고기?믄믈’이라고 옮겨 놓았다. 요즘에도 몽골에서는 쇠고기를 넣고 삶은 국을 ‘슐렁’이라 부른다. 그럼에도 설렁탕이 전농동과 연관된 말로 전해지는 것은 임금의 덕이 널리 미치기를 바라는 백성들의 마음이 담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53
268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67
26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567
26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565
265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565
264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565
26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63
262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562
261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60
260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555
259 ‘이’와 ‘히’ 風文 2023.05.26 1554
258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53
257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52
256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52
255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51
254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550
253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49
25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549
251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44
25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44
24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541
248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539
24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