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5 14:49

전농동과 설렁탕

조회 수 891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농동과 설렁탕

땅이름은 생김새나 사는 동식물, 풍수지리, 역사적인 일들이 관련돼 생기는 때가 많다. 동대문구 전농동도 그런 경우다. 전농동(典農洞)은 임금이 백성의 농사를 장려하고자 제사를 지내고 밭을 갈던 땅이 있었기에 붙은 이름이다. 이곳에는 선농단(先農壇)이 있었는데, 이 제단(현재는 제기동)은 농사짓는 법을 처음으로 가르쳤다는 신농씨(神農氏)·후직씨(后稷氏)를 제사 지내는 곳이었다.

전농동의 땅이름과 함께 널리 알려진 음식이 ‘설렁탕’이다. 설렁탕은 성종대왕 시절 ‘선농단’에서 제사를 지낸 임금이 종친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과 함께 백성을 위로하고자 소머리와 내장 등을 넣고 끓인 음식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선농탕’이라 불렸는데, 차음 설렁탕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 알려진 말이다. 왜냐하면 성종 연간의 기사가 과연 설렁탕을 말하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을 뿐더러 말소리가 비슷한 데서 유추한 결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설렁탕의 유래는 몽골어 [슐렁]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몽어유해>의 [슈루]는 궁중 음식을 뜻하는 [수라]로 바뀌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슈루]는 ‘공탕’(空湯)이다. 그렇기에 ‘유해’의 해석에도 ‘고기?믄믈’이라고 옮겨 놓았다. 요즘에도 몽골에서는 쇠고기를 넣고 삶은 국을 ‘슐렁’이라 부른다. 그럼에도 설렁탕이 전농동과 연관된 말로 전해지는 것은 임금의 덕이 널리 미치기를 바라는 백성들의 마음이 담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4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9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906
2798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4
2797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53
2796 기린 바람의종 2009.12.18 10184
2795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169
2794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11
2793 기면 기고 바람의종 2010.01.28 11646
2792 기별 바람의종 2007.06.07 8690
2791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442
2790 기우 바람의종 2007.06.08 10456
2789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1056
2788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904
2787 기지개를 펴다, 피해를 입다 바람의종 2008.12.28 11053
2786 기지촌 바람의종 2007.06.08 6834
2785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18
2784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689
2783 기합 주다 바람의종 2007.05.07 10063
2782 긴가민가하다 바람의종 2009.12.18 9654
2781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60
2780 길다란, 기다란, 짧다랗다, 얇다랗다, 넓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0 17592
2779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80
277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98
2777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8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