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5 14:49

전농동과 설렁탕

조회 수 880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농동과 설렁탕

땅이름은 생김새나 사는 동식물, 풍수지리, 역사적인 일들이 관련돼 생기는 때가 많다. 동대문구 전농동도 그런 경우다. 전농동(典農洞)은 임금이 백성의 농사를 장려하고자 제사를 지내고 밭을 갈던 땅이 있었기에 붙은 이름이다. 이곳에는 선농단(先農壇)이 있었는데, 이 제단(현재는 제기동)은 농사짓는 법을 처음으로 가르쳤다는 신농씨(神農氏)·후직씨(后稷氏)를 제사 지내는 곳이었다.

전농동의 땅이름과 함께 널리 알려진 음식이 ‘설렁탕’이다. 설렁탕은 성종대왕 시절 ‘선농단’에서 제사를 지낸 임금이 종친을 비롯한 여러 신하들과 함께 백성을 위로하고자 소머리와 내장 등을 넣고 끓인 음식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처음에는 ‘선농탕’이라 불렸는데, 차음 설렁탕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 알려진 말이다. 왜냐하면 성종 연간의 기사가 과연 설렁탕을 말하는 것인지 분명하지 않을 뿐더러 말소리가 비슷한 데서 유추한 결과로 보이기 때문이다. 설렁탕의 유래는 몽골어 [슐렁]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몽어유해>의 [슈루]는 궁중 음식을 뜻하는 [수라]로 바뀌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슈루]는 ‘공탕’(空湯)이다. 그렇기에 ‘유해’의 해석에도 ‘고기?믄믈’이라고 옮겨 놓았다. 요즘에도 몽골에서는 쇠고기를 넣고 삶은 국을 ‘슐렁’이라 부른다. 그럼에도 설렁탕이 전농동과 연관된 말로 전해지는 것은 임금의 덕이 널리 미치기를 바라는 백성들의 마음이 담겼기 때문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7922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441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9312
    read more
  4.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Date2020.06.17 By風文 Views1633
    Read More
  5. 전철을 밟는다

    Date2008.01.29 By바람의종 Views9876
    Read More
  6. 전철련

    Date2010.03.15 By바람의종 Views8536
    Read More
  7. 전운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7470
    Read More
  8. 전송과 배웅

    Date2010.12.19 By바람의종 Views13240
    Read More
  9. 전세값, 삭월세

    Date2008.11.11 By바람의종 Views6301
    Read More
  1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Date2020.06.16 By風文 Views1617
    Read More
  11. 전농동과 설렁탕

    Date2008.03.15 By바람의종 Views8804
    Read More
  12. 전년도, 회계연도

    Date2012.10.08 By바람의종 Views12377
    Read More
  13. 전광석화

    Date2007.12.18 By바람의종 Views6466
    Read More
  14. 적자

    Date2007.08.16 By바람의종 Views13213
    Read More
  15. 적이

    Date2007.03.23 By바람의종 Views7316
    Read More
  1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Date2022.07.31 By風文 Views1185
    Read More
  17. 저희 나라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8853
    Read More
  18. 저지

    Date2010.04.18 By바람의종 Views12226
    Read More
  19. 저어새

    Date2009.09.24 By바람의종 Views8275
    Read More
  20. 저린다

    Date2010.10.30 By바람의종 Views8780
    Read More
  21. 저리다 / 절이다

    Date2023.11.15 By風文 Views1192
    Read More
  22.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Date2009.03.24 By바람의종 Views22225
    Read More
  23. 저 같은 경우는?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6182
    Read More
  24. 쟈근아기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6982
    Read More
  25. 쟈고미

    Date2009.08.27 By바람의종 Views689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