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22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얼음보숭이·에스키모


‘얼음보숭이’는 ‘아이스크림’을 뜻하는 북녘말이다. 그런데 ‘얼음보숭이’가 북녘에서 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얼음보숭이’는 1981년에 나온〈현대조선말사전〉제2판에 실렸는데 1992년에 나온〈조선말대사전〉에는 실리지 않았다. 〈조선말대사전〉에는 ‘아이스크림’과 ‘에스키모’가 뜻이 같은 말로 올랐다. 다듬은 말인 ‘얼음보숭이’가 언중의 호응을 얻지 못한 까닭에 사전에서 빠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남녘에서는 ‘아이스크림’ 대신 ‘얼음보숭이’를 쓰기도 한다. 이제 ‘얼음보숭이’는 북녘보다 남녘에서 더 많이 쓰는 말이 됐는지도 모르겠다.

‘에스키모’는 ‘북극, 캐나다, 그린란드 및 시베리아 북극 지방에 사는 인종’을 뜻하는 말인데 북녘에서 ‘아이스크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 연유는 뭘까? 북녘 학자의 설명으로, ‘에스키모’가 아이스크림의 상표 이름이었는데, 그 상품의 인기가 높다 보니 아이스크림 대신 쓰게 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에스키모’를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쓴다고 한다. 2006년 12월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 1권은 ‘ㄱ’부터 ‘ㅁ’까지밖에 없어서 ‘아이스크림’과 ‘에스키모’가 어떻게 정리되었는지 알 수 없다. 현재 상황을 반영한다면 ‘에스키모’ 쪽으로 정리될 수도 있겠다. 〈조선말대사전〉에 ‘아이스’가 들어간 말로 ‘아이스크림·아이스케키·드라이아이스’가 있는데, 아이스케키는 ‘얼음과자’로, ‘드라이아이스’는 ‘마른얼음’으로 다듬었다. 얼음과자는 다시 에스키모와 뜻 같은 말로 풀이하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91
268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619
267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618
266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618
265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616
264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613
263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611
262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608
261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606
26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606
259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604
25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99
25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599
256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97
25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596
254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593
253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590
252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589
251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586
250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583
249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579
248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576
247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