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30

수진이 고개

조회 수 9732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진이 고개

성남시 수진동은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도 했다.〈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에는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묘를 관리하는 수진궁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런데 수진동은 ‘수진’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민요 ‘남원산성’의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 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진’, ‘날진’(나진, 난친), ‘보라매’는 모두 매의 이름들이다. 사역원에서 간행한〈몽어유해〉에는 ‘해동청’(海東靑)을 ‘숑홀’이라고 기록한 바 있는데, 해동청은 오늘날의 ‘송골매’다.

이처럼 땅이름에 매의 이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와의 교류 과정에서 원의 매사냥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떤 말들은 완전히 우리말처럼 쓰여 몽골어에서 온 것인지조차 알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히고자 이름과 주소를 적어 매 꽁지에 붙인 네모진 뿔을 일컫는 말이었다. 달아난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기로 작정하고 시치미를 떼는 행위에서 ‘시치미 떼다’라는 관용어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매잡이’에서 사라져 가는 매잡이의 전통을 지키려는 곽돌 영감의 몸부림이 묘사되어 있듯이 오늘날은 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하니, 그나마 땅이름 속에서 매가 오래도록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48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3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463
2004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바람의종 2012.12.12 37933
2003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192
2002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734
2001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288
2000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59
1999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089
1998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474
1997 미주알고주알 밑두리콧두리 바람의종 2010.01.22 9482
1996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765
1995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761
1994 민들레 홀씨 바람의종 2009.07.16 7074
1993 민원 바람의종 2009.07.18 6119
1992 민초, 백성, 서민 바람의종 2009.09.22 11540
1991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296
1990 믿음 바람의종 2009.09.18 7758
1989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40
1988 밀랍인형 바람의종 2007.11.04 10800
1987 밀월 바람의종 2007.07.06 8867
1986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424
1985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694
1984 바꼈다 바람의종 2008.09.03 7523
1983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