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30

수진이 고개

조회 수 996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진이 고개

성남시 수진동은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도 했다.〈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에는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묘를 관리하는 수진궁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런데 수진동은 ‘수진’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민요 ‘남원산성’의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 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진’, ‘날진’(나진, 난친), ‘보라매’는 모두 매의 이름들이다. 사역원에서 간행한〈몽어유해〉에는 ‘해동청’(海東靑)을 ‘숑홀’이라고 기록한 바 있는데, 해동청은 오늘날의 ‘송골매’다.

이처럼 땅이름에 매의 이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와의 교류 과정에서 원의 매사냥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떤 말들은 완전히 우리말처럼 쓰여 몽골어에서 온 것인지조차 알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히고자 이름과 주소를 적어 매 꽁지에 붙인 네모진 뿔을 일컫는 말이었다. 달아난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기로 작정하고 시치미를 떼는 행위에서 ‘시치미 떼다’라는 관용어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매잡이’에서 사라져 가는 매잡이의 전통을 지키려는 곽돌 영감의 몸부림이 묘사되어 있듯이 오늘날은 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하니, 그나마 땅이름 속에서 매가 오래도록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17
2138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39
2137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39
2136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737
2135 접수, 제출 바람의종 2008.12.17 9737
2134 깃들다, 깃들이다 바람의종 2009.05.04 9735
2133 기특하다 바람의종 2007.05.07 9733
2132 복실, 복슬, 북슬, 북실 바람의종 2010.04.19 9727
2131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726
2130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25
2129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24
2128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23
2127 껌과 고무 바람의종 2008.09.07 9722
2126 싸목싸목 허소! 바람의종 2009.11.29 9720
2125 임산부/임신부, 홑몸/홀몸 바람의종 2008.05.31 9714
2124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713
2123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713
2122 밧다리, 밭다리, 받다리 바람의종 2010.08.06 9713
2121 유토피아 바람의종 2008.02.18 9711
2120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707
2119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701
2118 녹초가 되다 바람의종 2007.12.30 9698
2117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