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2 12:20

한터와 자갈치

조회 수 952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터와 자갈치

‘한터’는 서울 대치동의 다른 이름이다. ‘한’은 ‘큰’에 해당하는 우리말이며, ‘터’는 ‘치’(峙)의 옛음인 ‘티’가 변화한 말이다. ‘티’가 구개음화해서 ‘치’로 바뀌지 않고 ‘터’로 변한 것은 장소를 나타내는 다른 말인 ‘터’가 있기 때문이다. ‘장터’, ‘새터’와 같이 특정한 장소를 이를 때 ‘터’가 쓰이는 경우는 매우 많다. ‘티’, 곧 ‘치’는 고개를 일컫거나 산이 우뚝 솟은 모습을 일컬을 때 쓰인다. ‘한티’가 ‘대치’로 맞옮겨진 것은 의미상으로도 매우 자연스럽다. 또한 ‘한터’도 어휘 관계를 고려할 때 자연스럽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터’가 ‘치’로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부산 자갈치 시장은 ‘자갈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자갈치’는 등가싯과의 생선 이름이지만 자갈치가 많이 잡혀 붙은 이름인지는 알 수 없다. 자갈치 시장은 1946년에 생겨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 지역은 자갈투성이 땅이었기 때문에 ‘자갈터’라는 말이 붙었다고 한다. ‘자갈터’가 ‘자갈치’로 바뀐 셈이다. 간혹은 몽골어에서 자갈치가 ‘어부’를 뜻하는 말이므로, 자갈치 시장도 몽골어에서 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자갈치 시장이 생겨난 시점을 고려한다면, 자갈치는 ‘자갈터’에서 유래한 말로, 점차 어류인 자갈치를 연상하게 했다고 봐야겠다. 오늘날 자갈치 시장에서 자갈을 구경하기는 어렵다. 현대식 건물 뒤에 시장 아지매들의 삶과 판잣집의 모습이 사라지고, ‘자갈터’ 흔적도 사라졌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64
2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08
24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607
24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606
243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04
242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604
241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602
240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601
239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596
238 ○○노조 風文 2022.12.26 1595
237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594
236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594
23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587
234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587
233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586
232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584
231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584
230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583
229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581
228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580
227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580
226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579
225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