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2

그닥

조회 수 703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닥

남녘에서 최근 널리 쓰이는 말로 ‘그닥’이 있다. 그닥은〈조선말대사전〉에서 ‘그다지의 말체’로 풀이되어 있다.

“하는수 없이 박홍덕은 바위틈에서 내려서서 그닥 높지 않은 목소리로 누구냐고 소리를 질렀다.”(장편소설 1932년)

〈조선말대사전〉에는 ‘말체’로 풀이된 올림말이 상당수 있다. 말체는 곧 ‘입으로 말하는 투’다. 다시 말해 글말투로 글을 쓸 때에는 ‘그다지’로 적고, 입말투로 글을 쓴다면 ‘그닥’으로 적는다는 말이다. 남녘 사전에는 ‘그닥’이 없는데, 그 이유는 ‘말체’ 낱말을 올리지 않고 ‘준말’인 낱말을 올리기 때문이다. 만약 ‘그닥’을 ‘준말’로 풀이하여 사전에 싣는다면, ‘글말투 문장에서 일반적으로 그닥을 쓰게 되었다’고 본 것이다.

‘그닥’은 어느 낱말의 준말일까? ‘그닥’은 북부와 중부 지역어에서 두루 확인되는 ‘그닥지’의 준말이다. 이제는 ‘그닥지’를 쓰지 않는데도 ‘그닥’이 남녘의 글에서 쓰이게 된 것은 인터넷 글쓰기의 영향이다. 그래서 ‘그닥’을 인터넷 유행어 정도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닥지’와 ‘그다지’는 20세기 전후에 같이 쓰이다가 표준어 정책으로 ‘그다지’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글학회〈큰사전〉이래로 남북 사전에서는 ‘그닥지’를 비표준어로 보고 있다. 그런데 ‘그닥’을 설명하려면 ‘그닥지’가 다시 필요하게 되었다. ‘그다지’와의 세력 싸움에서 진 뒤로 지역어에만 남아 있던 ‘그닥지’가 ‘그닥’을 내세워 중앙 진출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7626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179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7Feb
    by 바람의종
    2008/02/17 by 바람의종
    Views 8081 

    굿

  5.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10/05/28 by 바람의종
    Views 9149 

    궁거운 생각!

  6. No Image 17Dec
    by 바람의종
    2007/12/17 by 바람의종
    Views 7103 

    궁시렁궁시렁

  7. No Image 30May
    by 바람의종
    2009/05/30 by 바람의종
    Views 6257 

    궁작이

  8. No Image 16Mar
    by 바람의종
    2010/03/16 by 바람의종
    Views 12215 

    궂기다

  9. No Image 30Apr
    by 바람의종
    2008/04/30 by 바람의종
    Views 8854 

    궂긴소식

  10. No Image 19Jul
    by 바람의종
    2008/07/19 by 바람의종
    Views 7437 

    궂긴인사

  11. No Image 28May
    by 바람의종
    2010/05/28 by 바람의종
    Views 11378 

    궂은날, 궂은 날

  12. No Image 10Feb
    by 風文
    2022/02/10 by 風文
    Views 1263 

    권력의 용어

  13. No Image 11Nov
    by 風文
    2023/11/11 by 風文
    Views 1454 

    귀 잡수시다?

  14. No Image 06Jun
    by 바람의종
    2007/06/06 by 바람의종
    Views 8661 

    귀감

  15.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12/08/14 by 바람의종
    Views 33018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16.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9/06/11 by 바람의종
    Views 10614 

    귀성

  17. No Image 20May
    by 관리자
    2022/05/20 by 관리자
    Views 1135 

    귀순과 의거

  18. No Image 17Feb
    by 바람의종
    2009/02/17 by 바람의종
    Views 11006 

    귀절 / 구절

  19.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08/02/15 by 바람의종
    Views 9944 

    귀지하다

  20. No Image 28Dec
    by 바람의종
    2007/12/28 by 바람의종
    Views 18050 

    귀추가 주목된다

  21.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12/09/26 by 바람의종
    Views 8636 

    귀향객, 귀성객

  22. No Image 03Apr
    by 바람의종
    2009/04/03 by 바람의종
    Views 10731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23. No Image 18Mar
    by 바람의종
    2010/03/18 by 바람의종
    Views 9206 

    그것을 아시요?

  24. No Image 27Aug
    by 바람의종
    2010/08/27 by 바람의종
    Views 8994 

    그것참

  25. No Image 10Jul
    by 바람의종
    2009/07/10 by 바람의종
    Views 7368 

    그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