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0 12:36

사위질빵

조회 수 571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위질빵

풀꽃이름 중에 ‘며느리밥풀’이나 ‘며느리밑씻개’처럼 며느리가 들어간 이름은 제법 알려진 편이지만, ‘사위질빵’처럼 사위가 들어간 이름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사위질빵’은 여름에 시골담장에서 탐스런 하얀 꽃이 피는 덩굴식물이다. 그런데 다른 덩굴들은 보통 굵고 질긴데, 이는 무척 약하고 툭툭 잘 끊어지는 덩굴이다. 한자말로는 ‘여위’(女萎), 북녘말로는 ‘질빵풀’이다.

‘사위질빵’은 사위가 가을걷이 등 처갓집 일을 도울 때 사위에게만 유난히 조금씩만 짐을 실어 지게질을 하게 한 장인 장모에게, 함께 일하던 사람들이 이 약한 덩굴로 질빵(지게끈)을 만들어도 끊어지지 않겠다고 투정 반 농담 반 놀렸다는 데서 나온 이름이다. 사위를 아끼는 정이 따뜻하게 느껴진다. 사위질빵보다 꽃이 조금 더 큰 ‘할미질빵’도 있는데, 할머니가 멜 정도로 약한 덩굴이지만 사위질빵에 견줘 조금 더 굵고 질긴 것을 보면 논리적으로는 사위를 더 끔찍이 생각하는 것이 된다.

농사일을 할 때 ‘봄볕에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 내보낸다’는 속담과 비교해 보면 전통 사회에서 며느리와 사위 대접이 너무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21일을 ‘부부의 날’로 정함으로써 ‘가정의 달’ 완결편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며느리의 날’ ‘사위의 날’도 상상을 해 본다. 남의 집 귀한 아들딸을 데리고 왔음을 다시금 깨닫는 일도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위질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96
246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413
245 ‘~스런’ 風文 2023.12.29 1412
24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09
243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08
24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06
24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405
240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02
23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02
238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98
237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97
236 ○○노조 風文 2022.12.26 1392
235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91
234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90
233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89
232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89
231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88
230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87
229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84
228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83
227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83
226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83
22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