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58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지금까지 ‘말겨레’란 문패를 달고 세계 여러 말의 뿌리와 짜임새를 살펴봤다. 어떤 말들은 짜임새가 비슷하면서도 뿌리가 다른 것도 있었고, 짜임새는 조금 다르지만 뿌리가 같은 것도 있었다. 그러면 우리말의 뿌리와 짜임새는 어떤가?

흔히 우리말의 짜임새 특징을 교착어라 한다. 교착어란 문법 형태소를 하나씩 덧붙여 문법 관계를 표현하는 말을 일컫는다. ‘할아버지께서 오시었다’란 말을 보면, ‘할아버지’에 ‘께서’가 붙어 높임의 주격을 보이고, ‘오시었다’의 ‘오-’에 ‘-시-’가 붙어 주어를 높이는 기능을, ‘-었-’이 붙어 동작이 과거에 일어났다는 것을, ‘-다’가 붙어 서술문이라는 기능을 보인다. 일본말·터키말·몽골말·핀란드말 따위도 비슷한 짜임새다. 말차례도 ‘주어+목적어+서술어’로 짜였는데, 위에 든 말들도 대개 그러하고, 이란말·힌디말·벵골말 따위도 우리와 말차례가 같다.

우리말의 뿌리는 어떠한가? 대체로 알타이 말겨레에 든다고 한다. 알타이 말겨레에 드는 몽골어파, 만주퉁구스어파, 터키어파와 같은 계통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외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비교언어학적으로 충분히 증명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우리말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어느 말겨레에 드는지는 앞으로 좀더 깊고 폭넓은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우리와 이웃한 말들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비교해 보는 한편, 우리의 값진 언어유산인 지역말들을 늦기 전에 빠짐없이 조사하여 살펴봐야 할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16
246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2
245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251
244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49
243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48
242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48
241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248
240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46
239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4
23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44
237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43
236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243
235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43
234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42
23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41
23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40
231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37
230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36
229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35
22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35
227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35
226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35
225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