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6 11:05

메다와 지다

조회 수 726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메다와 지다

우리가 어릴 적에는 책가방을 어깨에 메고 학교에 다녔으나 요즘은 유치원에서 대학까지 학생들이 모두 책가방을 등에다 지고 학교를 다닌다. 그러면서도 책가방을 지고 다닌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모두들 메고 다닌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가 말뜻을 헷갈리게 쓰며 살아가는 것이다. 메느냐 지느냐 하는 것은 책가방이냐 아니냐에 달린 것이 아니라 어깨에만 맡기느냐 등에다 맡기고 어깨는 거들기만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메다’는 어깨에다 무엇을 걸치거나 올려놓는 노릇이다. 그러나 반드시 한쪽 어깨에만 맡겨야 메는 것이다. 굳이 두 쪽 어깨에 맡겨도 메는 것일 수가 있지만 그럴 적에는 한쪽 어깨에 하나씩 따로 맡겨야 메는 것이다. 무엇이나 하나를 두 쪽 어깨에다 걸치면 그 무엇은 어쩔 수 없이 등허리 쪽에다 맡기는 수밖에 없고, 그렇게 하면 메는 것이 아니라 지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다’는 본디 ‘짊어지다’에서 ‘짊어’를 떼어버리고 쓰는 낱말인데, 무엇을 두 가닥으로 짊어서 두 쪽 어깨에 걸치고 등에다 얹어놓는 노릇을 뜻한다. 지는 노릇이 지난날 삶에서는 너무나 종요로워 ‘지게’까지 만들어 무거운 것이라도 쉽게 지도록 했다.

어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온전히 등에만 맡겨서 지면 그것은 업는 것이다. ‘업다’는 온전히 등에만 맡기지만 본디 깍지 낀 두 손의 도움은 받지 않을 수가 없는 노릇이고, 오래 업고 있으려면 띠 같은 것으로 몸통에다 묶는 것을 마달 수도 없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40
246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06
245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207
244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27
243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90
242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84
241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335
240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09
239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475
238 불우 바람의종 2007.07.17 5854
237 불야성 바람의종 2007.07.16 6290
236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7998
235 복마전 바람의종 2007.07.14 6305
234 보필 바람의종 2007.07.14 7208
233 보모 바람의종 2007.07.13 7085
232 보루 바람의종 2007.07.13 5631
231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54
230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223
229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609
228 백수 바람의종 2007.07.10 6175
227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08
226 백서 바람의종 2007.07.09 5403
225 백병전 바람의종 2007.07.08 61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