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6 11:05

메다와 지다

조회 수 726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메다와 지다

우리가 어릴 적에는 책가방을 어깨에 메고 학교에 다녔으나 요즘은 유치원에서 대학까지 학생들이 모두 책가방을 등에다 지고 학교를 다닌다. 그러면서도 책가방을 지고 다닌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모두들 메고 다닌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가 말뜻을 헷갈리게 쓰며 살아가는 것이다. 메느냐 지느냐 하는 것은 책가방이냐 아니냐에 달린 것이 아니라 어깨에만 맡기느냐 등에다 맡기고 어깨는 거들기만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메다’는 어깨에다 무엇을 걸치거나 올려놓는 노릇이다. 그러나 반드시 한쪽 어깨에만 맡겨야 메는 것이다. 굳이 두 쪽 어깨에 맡겨도 메는 것일 수가 있지만 그럴 적에는 한쪽 어깨에 하나씩 따로 맡겨야 메는 것이다. 무엇이나 하나를 두 쪽 어깨에다 걸치면 그 무엇은 어쩔 수 없이 등허리 쪽에다 맡기는 수밖에 없고, 그렇게 하면 메는 것이 아니라 지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다’는 본디 ‘짊어지다’에서 ‘짊어’를 떼어버리고 쓰는 낱말인데, 무엇을 두 가닥으로 짊어서 두 쪽 어깨에 걸치고 등에다 얹어놓는 노릇을 뜻한다. 지는 노릇이 지난날 삶에서는 너무나 종요로워 ‘지게’까지 만들어 무거운 것이라도 쉽게 지도록 했다.

어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온전히 등에만 맡겨서 지면 그것은 업는 것이다. ‘업다’는 온전히 등에만 맡기지만 본디 깍지 낀 두 손의 도움은 받지 않을 수가 없는 노릇이고, 오래 업고 있으려면 띠 같은 것으로 몸통에다 묶는 것을 마달 수도 없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54
246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51
245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351
244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50
243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349
24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349
241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46
240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344
239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41
23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40
23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39
236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38
23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37
234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34
233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33
232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33
231 ○○노조 風文 2022.12.26 1333
230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32
22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32
228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31
227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31
226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28
225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