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6 11:05

메다와 지다

조회 수 723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메다와 지다

우리가 어릴 적에는 책가방을 어깨에 메고 학교에 다녔으나 요즘은 유치원에서 대학까지 학생들이 모두 책가방을 등에다 지고 학교를 다닌다. 그러면서도 책가방을 지고 다닌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모두들 메고 다닌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가 말뜻을 헷갈리게 쓰며 살아가는 것이다. 메느냐 지느냐 하는 것은 책가방이냐 아니냐에 달린 것이 아니라 어깨에만 맡기느냐 등에다 맡기고 어깨는 거들기만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메다’는 어깨에다 무엇을 걸치거나 올려놓는 노릇이다. 그러나 반드시 한쪽 어깨에만 맡겨야 메는 것이다. 굳이 두 쪽 어깨에 맡겨도 메는 것일 수가 있지만 그럴 적에는 한쪽 어깨에 하나씩 따로 맡겨야 메는 것이다. 무엇이나 하나를 두 쪽 어깨에다 걸치면 그 무엇은 어쩔 수 없이 등허리 쪽에다 맡기는 수밖에 없고, 그렇게 하면 메는 것이 아니라 지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지다’는 본디 ‘짊어지다’에서 ‘짊어’를 떼어버리고 쓰는 낱말인데, 무엇을 두 가닥으로 짊어서 두 쪽 어깨에 걸치고 등에다 얹어놓는 노릇을 뜻한다. 지는 노릇이 지난날 삶에서는 너무나 종요로워 ‘지게’까지 만들어 무거운 것이라도 쉽게 지도록 했다.

어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온전히 등에만 맡겨서 지면 그것은 업는 것이다. ‘업다’는 온전히 등에만 맡기지만 본디 깍지 낀 두 손의 도움은 받지 않을 수가 없는 노릇이고, 오래 업고 있으려면 띠 같은 것으로 몸통에다 묶는 것을 마달 수도 없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58
2138 맨발, 맨 밑바닥 바람의종 2009.07.28 8686
2137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088
2136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135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780
2134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13
2133 머지않아 바람의종 2010.03.22 11240
2132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46
2131 바람의종 2009.05.06 7834
2130 먹거리 바람의종 2010.11.03 10063
2129 먹거리,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11.16 6036
2128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53
2127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34
21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125 먹어시냐 바람의종 2009.06.17 5917
2124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84
2123 먹통 같다 바람의종 2008.01.07 9718
2122 먼지털이, 재털이 바람의종 2010.03.13 9706
2121 멀쩡하다 / 내외빈 風文 2020.06.18 1828
2120 멋, 맵시 바람의종 2010.07.18 9596
211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361
2118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0
211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1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