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8

여우잠

조회 수 10137 추천 수 29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잠

‘깊이 들지 않은 잠’을 ‘여우잠’이라 한다. 여우잠은 남녘 국어사전에 오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에서 간혹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 두루 쓰는 ‘노루잠·토끼잠·괭이잠·개잠’이 있다. 이들 말은 ‘깊이 들지 않아서 자꾸 놀라 깨는 잠’을 뜻하므로 ‘자꾸 놀라 깬다’는 뜻이 더 있다. 노루와 토끼는 힘센 육식 동물의 공격에 대비해야 하니 깊은 잠을 안 자는 습성이 있다. 괭이(고양이)는 기원전 1500년께 고대 이집트에서 길들였다는 기록이 있고, 개는 적어도 1만년 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왔다고 한다. 이들은 사람보다 청각이 발달해 작은 움직임이나 소리에도 잠에서 깨기에 깊은 잠을 안 자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우잠은 왜 ‘깊이 들지 못한 잠’을 뜻하게 되었을까? ‘노루·토끼’나 ‘괭이·개’와 같은 방식으로는 이해되지 않는다. 남북이 같이 쓰는 ‘여우볕’은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나왔다가 숨어버리는 볕’이고, 남녁말 ‘여우비’는 ‘볕이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이다. 여우볕과 여우비는 ‘잠깐 지속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 점에서 ‘여우잠’을 이해할 수 있겠다.

‘겉잠’과 관련 지어서도 해석할 수 있다. 겉잠은 ‘겉으로만 눈을 감고 자는 체하는 것’ 혹은 ‘깊이 들지 않은 잠’이다. 앞의 뜻은 여우잠과 관련 지을 수 있다. 여우는 영리하고 교활하기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곧, ‘잠자는 체하지만 사실 안 자는 것’을 이르는 말로 시작해서 뒤의 뜻으로 쓰인다고 볼 수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60
2380 돔 / 식해 風文 2020.06.23 1818
2379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606
2378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00
2377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538
2376 동냥 바람의종 2010.04.24 11550
2375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36
237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172
2373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58
2372 동사, 형용사 바람의종 2008.09.30 6438
2371 동사활용 바람의종 2009.08.01 7222
2370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803
2369 동서남북 순서 바람의종 2010.03.03 8869
2368 동자꽃 바람의종 2008.06.04 6736
2367 동티 바람의종 2010.03.08 10595
2366 동티가 나다 바람의종 2007.12.31 14118
2365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883
2364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209
2363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67
236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21
2361 됐거든 바람의종 2009.12.01 8722
2360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679
2359 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9.20 46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