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47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어느 말겨레에 들지 못하고 두 언어가 뒤섞여 이루어진 말이 있다. 이를 튀기말이라 한다. 튀기말의 대표적인 형태가 피진이다. 피진은 주로 바다를 건너 장사하는 사람들 사이에 사용되던 말이다. 대개는 영어나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에 바탕을 두고 현지 토박이말을 섞어 형성되는데, 낱말의 수도 한정되고 문법도 매우 단순화되어 있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꼭 필요한 만큼의 낱말과 문법으로만 이루어진 게 튀기말이다.

피진 중에는 중국의 피진영어가 대표적이다. 피진이란 말 자체가 비즈니스(business)의 중국 발음을 딴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나 태평양에 여러 토박이말과 서양말 사이에서 생겨난 피진들이 여럿 있다. 대개 낱말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말에서 왔고 문법은 토박이말에서 따왔다.

피진은 친밀하지 않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느라 생긴 것으로 소통할 필요성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집단 사이 관계가 매우 긴밀해져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언어를 완전히 배울 수 있게 되면 피진은 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느 쪽도 상대방 언어를 온전히 배울 마음이 없는 한 피진은 사라지지 않는다. 삼백년 동안이나 유지된 중국의 피진영어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피진이 한 족속의 모국어로 뿌리내리게 되어 어린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이를 정식으로 습득하는 말이 될 때 이를 ‘크레올’이라 한다. 임시변통이던 튀기말이 정식 언어로 태어나는 셈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04
2908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34
2907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1
2906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006
2905 구랍 바람의종 2008.11.13 6732
2904 구랍 바람의종 2010.11.05 11154
2903 구렛나루, 구레나루, 구렌나루 / 횡경막 / 관자노리 바람의종 2008.11.03 8469
2902 구리무와 포마드 바람의종 2010.03.24 11826
2901 구메구메 바람의종 2010.11.26 10748
2900 구명과 규명 바람의종 2010.10.13 11027
2899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211
2898 구별과 구분 바람의종 2010.11.02 9492
2897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8
2896 구설수 바람의종 2008.10.11 7081
2895 구소련 바람의종 2010.07.20 11813
2894 구슬러, 구슬려 / 거슬러, 거슬려 바람의종 2009.11.15 11044
2893 구저모디 file 바람의종 2009.12.14 8306
2892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8
2891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02
2890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216
288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454
2888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196
2887 국물, 멀국 /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09.02.20 12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