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78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20
1984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97
1983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392
1982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385
1981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83
1980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81
1979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80
1978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378
1977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376
1976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75
1975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5
1974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74
1973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371
1972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65
1971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1970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63
19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62
1968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9360
1967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60
1966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59
1965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59
1964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57
1963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3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