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49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89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142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1Nov
    by 바람의종
    2007/11/01 by 바람의종
    Views 9307 

    소설속 고장말

  5. No Image 16Oct
    by 바람의종
    2007/10/16 by 바람의종
    Views 9305 

    납득하다

  6. No Image 30Jun
    by 바람의종
    2009/06/30 by 바람의종
    Views 9300 

    몰로이

  7. No Image 20Aug
    by 바람의종
    2012/08/20 by 바람의종
    Views 9287 

    바람

  8. No Image 13May
    by 바람의종
    2010/05/13 by 바람의종
    Views 9285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9. No Image 25Sep
    by 바람의종
    2008/09/25 by 바람의종
    Views 9284 

    옷매무새, 옷매무시

  10. No Image 02Oct
    by 바람의종
    2009/10/02 by 바람의종
    Views 9282 

    딱총새

  11. No Image 23Jan
    by 바람의종
    2010/01/23 by 바람의종
    Views 9277 

    -씩

  12. No Image 14Dec
    by 바람의종
    2007/12/14 by 바람의종
    Views 9276 

    꿍치다

  13.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10/03/08 by 바람의종
    Views 9275 

    지역감정과 별명

  14. No Image 01Sep
    by 바람의종
    2009/09/01 by 바람의종
    Views 9275 

    고문과, 짬밥

  15. No Image 30Jul
    by 바람의종
    2010/07/30 by 바람의종
    Views 9274 

    손 없는 날

  16. No Image 17Aug
    by 바람의종
    2007/08/17 by 바람의종
    Views 9273 

    점심

  17.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9/05/09 by 바람의종
    Views 9268 

    허롱이

  18. No Image 05Apr
    by 바람의종
    2008/04/05 by 바람의종
    Views 9264 

    한내와 가린내

  19. No Image 12Feb
    by 바람의종
    2010/02/12 by 바람의종
    Views 9264 

    천둥벌거숭이

  20. No Image 17Jul
    by 바람의종
    2010/07/17 by 바람의종
    Views 9264 

    등용문

  21. No Image 11Feb
    by 바람의종
    2008/02/11 by 바람의종
    Views 9263 

    루즈

  22. No Image 23Nov
    by 바람의종
    2009/11/23 by 바람의종
    Views 9250 

    싸드락싸드락 묵소!

  23.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9250 

    쑥밭이 되다

  24. No Image 15Mar
    by 바람의종
    2010/03/15 by 바람의종
    Views 9249 

    승전보를 울렸다

  25. No Image 30Jan
    by 바람의종
    2008/01/30 by 바람의종
    Views 9247 

    중앙아시아 언어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