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1 15:17

밑과 아래

조회 수 748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밑과 아래

“요즘처럼 ‘위’에 물이 맑아야 ‘아래’ 물이 맑다는 속담이 절실한 때가 없었다.”
“문갑 ‘위’에만 대충 찾지 말고 ‘밑’에까지 샅샅이 잘 찾아봐.”

보다시피 ‘아래’도 ‘위’와 짝하여 맞서고, ‘밑’도 ‘위’와 짝하여 맞선다. 그래서 ‘밑’과 ‘아래’가 서로 어떻게 다른 낱말인지도 그만큼 가늠하기 어렵고, ‘위’는 ‘밑’과 맞서는 뜻도 지니고 ‘아래’와 맞서는 뜻도 지녀서 뜻넓이가 갑절로 넓은 줄도 알겠다.

‘밑’은 부피가 있는 무엇이 놓이는 자리에 닿는 데를 뜻한다. “저 녀석은 다리 밑에서 주워왔어.” 하며 아이를 놀릴 적의 ‘다리 밑’도 물을 건너는 다리 밑이 아니라 그 애 어머니의 다리 밑을 말하므로 앉으면 바로 몸이 놓이는 자리에 닿는다. 우리 옷은 바짓가랑이가 갈라지는 곳에 ‘긴밑’과 ‘고깔밑’을 대는데 그런 밑도 입고 앉으면 엉덩이가 놓이는 자리에 닿는다. 이처럼 ‘밑’은 ‘위’라는 맞선 말이 없이도 홀로 잘 쓰일 수 있다.

‘아래’는 부피가 있는 것이거나 아니거나를 가리지 않고, 어떤 잣대로 마음에 가로 금을 그어놓고 금에서 낮은 쪽(방향)을 뜻한다. 그리고 그 금에서 높은 쪽은 물론 ‘위’다. 그러니까 ‘아래’와 ‘위’는 반드시 서로 짝하여 쓰이면서 마음에 그어놓은 금을 잣대로 서로 거꾸로 가는 쪽을 뜻한다. 이때 ‘위’는 높은 하늘 쪽을 차지하고 ‘아래’는 낮은 땅 쪽을 차지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0
246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2
245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51
244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251
243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49
242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48
241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248
240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48
239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46
238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4
237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44
236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43
235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243
234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42
233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41
232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40
23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39
230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37
229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37
228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36
227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36
226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35
225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