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9 07:17

새라새롭다

조회 수 940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라새롭다

‘새라새롭다’는 ‘새롭고 새롭다’ 혹은 ‘여러 가지로 새롭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다.

“강세호는 새라새로운 소식을 주어 대는 두칠의 말에 얼떨떨했다.”(415 문학창작단 ‘백두산 기슭’) “그가 전혀 알지 못하던 새라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조선말대사전)

뜻풀이에서도 짐작이 되지만 ‘새라새롭다’는 ‘새롭다’와 ‘새롭다’가 결합된 말이다. 앞에 결합된 ‘새롭-’이 ‘새라’로 변했다. 이렇게 말이 반복된 말로 ‘가늘디가늘다, 높디높다, 쓰디쓰다’ 들이 있는데, 이 방식을 ‘새롭다’에 적용해 보면 ‘새롭디새롭다’가 된다. ‘새라새롭다’와 같은 방식은 그리 익숙하지는 않지만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낱말의 음절 수가 많아지면 쓰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새롭다’의 반복이 ‘새롭 새롭다’나 ‘새로새롭다’로 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새롭새롭다’는 발음의 불편함, ‘새로새롭다’는 부사 ‘새로’가 연상되는 문제 등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말을 반복해서 쓰는 것은 ‘빨리빨리’와 같이 어찌말에서 더 활발한데, 그림씨에서도 어간 반복을 널리 쓴다면, 토박이말 그림씨의 조어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새라새롭다’의 방식은 ‘-롭다’로 끝나는 형용사를 활용하는 데 유용하다. ‘새롭다’와 비슷한 짜임을 가진 말로 ‘괴롭다·외롭다·의롭다·이롭다’ 등이 있다. 이들 말을 반복하여 새말로 만들어서 ‘괴라괴롭다, 외라외롭다’ 식으로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878
1874 필자 바람의종 2009.09.24 8317
1873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18
1872 마름질 바람의종 2009.07.25 8318
1871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21
1870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324
1869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24
1868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26
1867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28
1866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342
186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52
1864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352
1863 바람의종 2007.03.31 8352
1862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52
1861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353
1860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60
1859 술과 음식 바람의종 2010.02.15 8363
1858 축제, 축전, 잔치 바람의종 2010.04.17 8368
1857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369
1856 조사됐다 바람의종 2010.04.25 8370
1855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71
1854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373
1853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3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