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9 07:17

새라새롭다

조회 수 958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라새롭다

‘새라새롭다’는 ‘새롭고 새롭다’ 혹은 ‘여러 가지로 새롭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다.

“강세호는 새라새로운 소식을 주어 대는 두칠의 말에 얼떨떨했다.”(415 문학창작단 ‘백두산 기슭’) “그가 전혀 알지 못하던 새라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조선말대사전)

뜻풀이에서도 짐작이 되지만 ‘새라새롭다’는 ‘새롭다’와 ‘새롭다’가 결합된 말이다. 앞에 결합된 ‘새롭-’이 ‘새라’로 변했다. 이렇게 말이 반복된 말로 ‘가늘디가늘다, 높디높다, 쓰디쓰다’ 들이 있는데, 이 방식을 ‘새롭다’에 적용해 보면 ‘새롭디새롭다’가 된다. ‘새라새롭다’와 같은 방식은 그리 익숙하지는 않지만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낱말의 음절 수가 많아지면 쓰기에 불편하기 때문이다. ‘새롭다’의 반복이 ‘새롭 새롭다’나 ‘새로새롭다’로 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새롭새롭다’는 발음의 불편함, ‘새로새롭다’는 부사 ‘새로’가 연상되는 문제 등이 아니었을까 짐작해 본다.

말을 반복해서 쓰는 것은 ‘빨리빨리’와 같이 어찌말에서 더 활발한데, 그림씨에서도 어간 반복을 널리 쓴다면, 토박이말 그림씨의 조어력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새라새롭다’의 방식은 ‘-롭다’로 끝나는 형용사를 활용하는 데 유용하다. ‘새롭다’와 비슷한 짜임을 가진 말로 ‘괴롭다·외롭다·의롭다·이롭다’ 등이 있다. 이들 말을 반복하여 새말로 만들어서 ‘괴라괴롭다, 외라외롭다’ 식으로 써 보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8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3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263
2710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88
2709 삼팔 따라지 바람의종 2008.02.24 10487
2708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371
2707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517
2706 쓸개 빠진 놈 바람의종 2008.02.25 11779
2705 악바리 바람의종 2008.02.25 10119
2704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276
2703 야코가 죽다 바람의종 2008.02.27 11065
2702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0
2701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975
2700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502
2699 오라질 바람의종 2008.02.28 10135
2698 오사리 잡놈 바람의종 2008.02.28 10050
2697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234
2696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636
2695 육시랄 놈 바람의종 2008.02.29 18085
2694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916
2693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639
»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589
2691 일본식 용어 - 가 바람의종 2008.03.01 8415
2690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675
2689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6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