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9 07:15

동남아 언어

조회 수 756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동남아 언어

우리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동남아시아에서 쓰이는 말을 살펴보자. 중국말과 함께 티베트말, 미얀마말은 중국-티베트 말겨레에 든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 쓰는 말레이말은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에 든다.

타이에서 쓰이는 타이말은 중국-티베트 말겨레와 비슷하지만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어 독자적인 말겨레를 이루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타이말은 중국말처럼 한 낱말이 한 음절로 돼 있으며, 그래서 말소리의 높낮이가 낱말의 뜻을 구별해 준다. 한 음절에 다섯 가지 성조가 놓일 수 있다. [khaa]라는 소리를 보기로 들어 보자. 보통 높이로 발음하면 ‘들어있다’라는 낱말이 되고, 낮은 소리로 발음하면 ‘아로마뿌리’라는 낱말이 되고, 높은 소리로 발음하면 ‘사업하다’라는 낱말이 된다. 또한 높다가 내려오는 소리로 발음하면 ‘종, 노예’라는 말이, 반대로 낮다가 올라가는 소리로 발음하면 ‘다리’라는 낱말이 된다. 말차례도 ‘주어+서술어+목적어’로 놓여 중국말과 비슷하다. 토씨나 씨끝으로 문법 관계를 나타내는 우리말과는 달리 말차례로써 문법 관계를 표현한다.

베트남에서 쓰이는 베트남말과 캄보디아에서 쓰이는 크메르말은 흔히 오스트로아시아 말겨레에 든다고 한다. 두 말 역시 성조를 가졌다. 그리고 베트남말은 우리말처럼 ‘ㄱ-ㄲ-ㅋ, ㄷ-ㄸ-ㅌ, ㅂ-ㅃ-ㅍ’와 같이 세 쌍이 대립하는 닿소리 체계를 이루고 있다. da는 ‘많이’, ta는 ‘일인칭대명사’, tha는 ‘용서하다’라는 뜻으로 구별된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01
24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182
245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244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06
243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11
242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254
24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43
240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37
239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93
238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61
237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09
236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風文 2022.06.21 1187
235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75
234 외교관과 외국어, 백두산 전설 風文 2022.06.23 1176
233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487
232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風文 2022.06.26 1198
231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26
230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風文 2022.06.27 1174
229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風文 2022.06.28 1193
228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295
227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534
226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02
225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