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5 21:06

재개비

조회 수 708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개비

‘재개비’는 재의 티끌이다. “반반히 불타버린 동네쪽에서는 아직도 재개비가 흩날리고 매캐한 파벽토냄새가 풍겨왔다.” (피바다)
“비방울이 후둑후둑 떨어졌다. 벌겋게 널린 숯불바닥에 구름처럼 김이 피여오르고 재개비가 흩날렸다.”(시대의 탄생 1)

‘재’라고 해도 될 것을 왜 ‘재개비’라 했을까? ‘재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거나 재가 조금 날리는 것’을 두루 나타내는데, ‘재개비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는 것’은 아니다.

재개비의 ‘개비’는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성냥개비, 장작개비’ 등이 그렇다. 심지어 ‘팔랑개비, 바람개비’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개비’가 본디‘가늘고 길쭉한 토막의 낱개’를 뜻하는데, 풍차처럼 바람에 돌아갈 수 있도록 ‘개비’를 붙여서 만들었기에 그렇게 이름 짓지 않았을까.

'깨비’도 마찬가지다. 북녘말 ‘동이깨비’와 남북이 같이 쓰는 ‘지저깨비’가 있다. ‘개비’가 ‘깨비’로 쓰이는 것은 발음에 이끌려 굳어진 탓이다. ‘재개비, 성냥개비, 장작개비’도 두루 ‘깨비’로 소리난다. ‘동이깨비’는 말 그대로 질그릇인 ‘동이’가 깨진 조각을 말한다. 지저깨비는 ‘지저분하다’와 ‘개비’의 결합으로 보이는데 ‘지저분한 조각’이다. 남북 모두 나무를 패거나 깎을 때 나오는 나뭇조각을 이르고, 북녘에서는 나무 이외의 대상에도 쓰인다.

“곡괭이는 비척거리며 튕겨오를뿐 콩크리트에서는 작은 지저깨비도 일지 않았다.”(평양시간)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24
246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71
245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42
244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792
24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66
242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800
241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8980
240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51
239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793
238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563
237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081
236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098
235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17
234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631
233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02
232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582
231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329
230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301
229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08
228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036
227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443
226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41
225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