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5 21:06

재개비

조회 수 707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개비

‘재개비’는 재의 티끌이다. “반반히 불타버린 동네쪽에서는 아직도 재개비가 흩날리고 매캐한 파벽토냄새가 풍겨왔다.” (피바다)
“비방울이 후둑후둑 떨어졌다. 벌겋게 널린 숯불바닥에 구름처럼 김이 피여오르고 재개비가 흩날렸다.”(시대의 탄생 1)

‘재’라고 해도 될 것을 왜 ‘재개비’라 했을까? ‘재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거나 재가 조금 날리는 것’을 두루 나타내는데, ‘재개비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는 것’은 아니다.

재개비의 ‘개비’는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성냥개비, 장작개비’ 등이 그렇다. 심지어 ‘팔랑개비, 바람개비’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개비’가 본디‘가늘고 길쭉한 토막의 낱개’를 뜻하는데, 풍차처럼 바람에 돌아갈 수 있도록 ‘개비’를 붙여서 만들었기에 그렇게 이름 짓지 않았을까.

'깨비’도 마찬가지다. 북녘말 ‘동이깨비’와 남북이 같이 쓰는 ‘지저깨비’가 있다. ‘개비’가 ‘깨비’로 쓰이는 것은 발음에 이끌려 굳어진 탓이다. ‘재개비, 성냥개비, 장작개비’도 두루 ‘깨비’로 소리난다. ‘동이깨비’는 말 그대로 질그릇인 ‘동이’가 깨진 조각을 말한다. 지저깨비는 ‘지저분하다’와 ‘개비’의 결합으로 보이는데 ‘지저분한 조각’이다. 남북 모두 나무를 패거나 깎을 때 나오는 나뭇조각을 이르고, 북녘에서는 나무 이외의 대상에도 쓰인다.

“곡괭이는 비척거리며 튕겨오를뿐 콩크리트에서는 작은 지저깨비도 일지 않았다.”(평양시간)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97
245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159
24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691
24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03
242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19
241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197
240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550
239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574
23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899
237 ○○노조 風文 2022.12.26 1179
236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22
235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54
234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14
23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21
232 “산따” “고기떡” “왈렌끼” new 風文 2024.05.31 15
231 “사겨라” “바꼈어요” new 風文 2024.05.31 25
230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491
229 “김” 風文 2023.03.06 1489
22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52
227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55
226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39
225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6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