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30

중국의 언어

조회 수 1047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국의 언어

중국은 한족과 쉰다섯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다. 다민족 국가인 만큼 언어 사용도 복잡하다. 한족들은 흔히 한어라 일컫는 중국말을 쓴다. 중국말은 중국-티베트 말겨레에 든다. 이 말겨레에 드는 말에는 중국말, 티베트말, 미얀마말이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모두 그들의 토박이말을 지니고 있지만, 중국말 세력에 밀려 대부분 이중 언어생활을 한다. 그러나 젊은이일수록 그들 자신의 말보다는 중국말에 더 익숙해 있다. 이들 토박이말은 대부분 알타이 말겨레에 든다.

중국말은 방언이 많기로 유명하다. 그리고 같은 한어라 하지만, 사실은 방언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언어라 할 정도로 그 차이가 크다. 서로 다른 방언을 쓰는 사람들끼리 만나 대화를 하면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그래서 베이징말을 바탕으로 하며 보통화라는 표준말을 만들어 온 국민에게 교육하여 이 말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누구와도 다 의사소통된다. 상하이는 ‘오’방언을 쓰는 지역이고, 홍콩 지역은 ‘월’방언이 쓰인다.

이러한 중국말의 가장 큰 특성은 원래 하나의 낱말이 하나의 음절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말하자면 음절수만큼만 낱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낱말을 늘이려면 한정된 음절을 여러번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한 음절을 여러번 쓰려고 높낮이를 달리하여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소리를 내어 쓰고 있다. 이를 성조라 한다. 같은 연유로 중국에서 한 개념을 한 글자로 표기하는 뜻글자를 만들게 된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43
1104 말빨, 화장빨, 글빨 바람의종 2010.03.07 10232
1103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8
1102 담배 이름 바람의종 2009.07.15 10242
1101 믿음직하다, 믿음 직하다 바람의종 2010.05.11 10255
1100 머지않아/멀지않아 바람의종 2009.02.04 10265
1099 겨우내, 가으내 바람의종 2010.03.09 10265
1098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266
1097 피난, 피란 바람의종 2009.04.13 10266
1096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67
1095 단감 바람의종 2010.07.05 10268
1094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 바람의종 2011.12.04 10268
1093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72
1092 박살내다 바람의종 2007.05.09 10275
1091 억수로 기찹데이! file 바람의종 2010.05.06 10277
1090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285
1089 금슬/금실, 사주단주/사주단자 바람의종 2008.06.04 10298
1088 ‘-데’와 ‘-대’의 구별 바람의종 2010.01.10 10300
1087 전화 받다 / 전화받다 바람의종 2011.11.24 10301
1086 선낱 도고! file 바람의종 2010.03.13 10302
1085 들이키다, 들이켜다 바람의종 2008.09.09 10307
1084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09
1083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