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30

중국의 언어

조회 수 1051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국의 언어

중국은 한족과 쉰다섯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다. 다민족 국가인 만큼 언어 사용도 복잡하다. 한족들은 흔히 한어라 일컫는 중국말을 쓴다. 중국말은 중국-티베트 말겨레에 든다. 이 말겨레에 드는 말에는 중국말, 티베트말, 미얀마말이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모두 그들의 토박이말을 지니고 있지만, 중국말 세력에 밀려 대부분 이중 언어생활을 한다. 그러나 젊은이일수록 그들 자신의 말보다는 중국말에 더 익숙해 있다. 이들 토박이말은 대부분 알타이 말겨레에 든다.

중국말은 방언이 많기로 유명하다. 그리고 같은 한어라 하지만, 사실은 방언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언어라 할 정도로 그 차이가 크다. 서로 다른 방언을 쓰는 사람들끼리 만나 대화를 하면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그래서 베이징말을 바탕으로 하며 보통화라는 표준말을 만들어 온 국민에게 교육하여 이 말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누구와도 다 의사소통된다. 상하이는 ‘오’방언을 쓰는 지역이고, 홍콩 지역은 ‘월’방언이 쓰인다.

이러한 중국말의 가장 큰 특성은 원래 하나의 낱말이 하나의 음절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말하자면 음절수만큼만 낱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낱말을 늘이려면 한정된 음절을 여러번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한 음절을 여러번 쓰려고 높낮이를 달리하여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소리를 내어 쓰고 있다. 이를 성조라 한다. 같은 연유로 중국에서 한 개념을 한 글자로 표기하는 뜻글자를 만들게 된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7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2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159
2930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71
2929 관자놀이 바람의종 2007.05.02 11342
2928 관해/대하여/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144
2927 관형사 바람의종 2010.02.09 10476
2926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656
2925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76
2924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632
2923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679
2922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43
2921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10
2920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67
2919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648
2918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2
2917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61
2916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915
2915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305
2914 교과서 바람의종 2009.02.20 5517
2913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27
2912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444
2911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6946
291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35
2909 교환 / 교체 바람의종 2010.10.04 131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