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30

중국의 언어

조회 수 1052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국의 언어

중국은 한족과 쉰다섯 소수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다. 다민족 국가인 만큼 언어 사용도 복잡하다. 한족들은 흔히 한어라 일컫는 중국말을 쓴다. 중국말은 중국-티베트 말겨레에 든다. 이 말겨레에 드는 말에는 중국말, 티베트말, 미얀마말이 있다. 중국의 소수민족들은 모두 그들의 토박이말을 지니고 있지만, 중국말 세력에 밀려 대부분 이중 언어생활을 한다. 그러나 젊은이일수록 그들 자신의 말보다는 중국말에 더 익숙해 있다. 이들 토박이말은 대부분 알타이 말겨레에 든다.

중국말은 방언이 많기로 유명하다. 그리고 같은 한어라 하지만, 사실은 방언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언어라 할 정도로 그 차이가 크다. 서로 다른 방언을 쓰는 사람들끼리 만나 대화를 하면 의사소통이 안 될 정도다. 그래서 베이징말을 바탕으로 하며 보통화라는 표준말을 만들어 온 국민에게 교육하여 이 말을 통해 전국 어디서나 누구와도 다 의사소통된다. 상하이는 ‘오’방언을 쓰는 지역이고, 홍콩 지역은 ‘월’방언이 쓰인다.

이러한 중국말의 가장 큰 특성은 원래 하나의 낱말이 하나의 음절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말하자면 음절수만큼만 낱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낱말을 늘이려면 한정된 음절을 여러번 활용해야 한다. 그래서 한 음절을 여러번 쓰려고 높낮이를 달리하여 네 가지의 서로 다른 소리를 내어 쓰고 있다. 이를 성조라 한다. 같은 연유로 중국에서 한 개념을 한 글자로 표기하는 뜻글자를 만들게 된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05
2930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444
2929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689
2928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9
2927 바가지를 긁다 바람의종 2008.01.08 8717
2926 말소리의 높낮이 바람의종 2008.01.08 7325
2925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929
2924 먹거리와 먹을거리 바람의종 2008.01.08 8511
2923 박차를 가하다 바람의종 2008.01.10 13029
2922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65
2921 쇠죽 바람의종 2008.01.10 8845
2920 말소리의 억양 바람의종 2008.01.10 6973
291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77
2918 반풍수 집안 망친다 바람의종 2008.01.11 11123
2917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417
2916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056
2915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122
2914 본데없다 바람의종 2008.01.12 8412
2913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670
2912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8078
2911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612
2910 볼장 다보다 바람의종 2008.01.13 19349
2909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