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4 03:28

난친이 바위

조회 수 741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친이 바위

땅이름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이 사는 지역뿐만 아니라 산이나 강·골짜기·바위 등의 이름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이런 이름 가운데는 사전에서 찾을 수 없는 말들이 다수 발견된다. 강원도 홍천군 동면 좌운리의 ‘난친이 바위’도 이런 이름 가운데 하나다. 이 바위는 마을 앞 산에 절벽처럼 서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바위에 난친이가 산다고 믿고 있다.

그런데 ‘난친이’가 어떤 새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 없다. 우리말 사전이나 동물도감에서도 이 새를 찾을 방법은 없다. 왜냐하면 ‘난친이’는 부엉이나 올빼미처럼 큰 새를 뜻하는 말로만 쓰이기 때문이다. 마을 사람들은 난친이는 낮에 활동하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고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난친이가 날면 마을에 좋은 일이 생긴다는 믿음도 갖고 있다. 그러면서도 막상 난친이가 나는 모습을 보았다는 이는 없다.

그렇다면 ‘난친이’는 어떤 새일까? 사실 이 말은 ‘나친’ 또는 ‘라친’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훈몽자회>에는 ‘나친 왈 아골(鴉?)’이라는 풀이가 나타나며, <역어유해>에서도 ‘아골(큰새)’을 ‘나친이’라고 적고 있다. 또한 이기문 교수는 이 단어의 기원을 토이기어 ‘라진’에서 찾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라진’, ‘나친’, ‘난친이’는 모두 ‘큰 새’를 뜻하는 몽골어 기원의 어휘로 고려시대 이후에 들어온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수백 년 전에 생성된 이름이 오늘날까지도 쓰이는 건 땅이름이 강한 생명력을 지닌 까닭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61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32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83
2688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54
2687 나차운 디! file 바람의종 2010.05.30 8653
2686 낙엽 바람의종 2010.08.29 10476
2685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8053
2684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32
2683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351
2682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9
2681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31
2680 난이도, 난도 바람의종 2009.06.29 11983
2679 난장판 바람의종 2007.05.08 8613
»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412
2677 날 뭘로 보고! 바람의종 2011.12.12 10603
2676 날개쭉지 바람의종 2012.08.14 10587
2675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86
2674 날래 가라우! 바람의종 2009.10.06 8442
2673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561
2672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55
2671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522
2670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469
2669 날아왔다 / 날라왔다 바람의종 2010.03.08 10718
2668 날염, 나염 바람의종 2009.06.12 9345
2667 날으는 비행기? 바람의종 2010.01.27 80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57 Next
/ 157